관련정보
[next]
2024.02.13 - [금융/채권] - 03_채권투자 핵심 노하우-채권가격의 변수와 영향
[before]
2024.02.02 - [금융/채권] - 01_채권투자 핵심 노하우-올바른 채권투자의 기초
아래 글은 책을 읽으면서 내용 요약한 것이여서 도표나 그래프가 없습니다.
가능하면 마경환 대표의 "채권투자 핵심 노하우" 도서를 구매해서 읽어보시고,
마경환 대표의 "마경환의 생각하는 투자" 유투브 채널을 시청하시는 것이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마경환 대표와 아무런 관계가 없습니다. ^^
올바른 채권투자의 기초
글로벌 시장환경은 채권투자가 정답이다.
글로벌 경제는 노령화와 저성장이 화두 이다.
노령화 진행 되면 안정적 투자성향 투자자 증가
글로벌 저성장 되면 투자수익이 작아지고, 보수화 되고 투자 자산 기대 수익 낮아져서 채권 투자 필요성 증가한다.
의료기술과 IT 기술 발전으로 인구 노령화 촉진되고 소비구조 변화와 투자에 영향을 준다.
한국은 2018년 고려사회, 2026년 65세 이상 20% 이상인 초고령 사회 된다.
고령화 사회에서 초고령화 사회 전환이 26년으로 급속히 늙어가고 있다.
변동성이 낮고 이자수익 발생 채권자산은 노령인구 훌률한 투자대안
채권펀드가 예금보다 좋은 이유는 채권 이자가 예금 이자보다 높고, 나라 파산하지 않아서 원금 보장이 된다, 투자기간이 자유롭다
채권이 주식보다 좋은 이유는 변동성이 낮아서 재무계획 세우기 유리하다.
시장 위함 할 때 주식과 반대로 움직이고, 채권은 가격 상승 않아도 수익이 나온다.
물가연계채권(TIPS) < 원자재(COMMODITIES)
V V
채권(BONDS) < 주식(EQUITIES)
물가연계채권은 성장율이 낮으면 기대수익이 낮아져 변 변동성이 높게 되면서 채권 투자가 더 적합하고, 인프레이션이 발생하면 금리가 올라가서 채권 이자율 위험하므로 금리연동 대출채권 또는 물가연계국채 투자
미래에셋 홈페이지에 물가연동국채 설명한 그림이다.
한국투자증권 홈페이지 설명 그림 이다.
장내채권에서 매매 가능 한것 같다.
원자재는 경제 활성화로 성장율 높아지면 원자재 수요 증가로 가격 상승이 되고, 인플레이션 상황에서도 실물자산이 인플레이션을 반영하므로 바람직한 투자 이다
주식은 인플레이션 낮고, 성장이 높을 경우 중앙은행이 양적완화 정책으로 경기회복 도모하고, 기업은 조달 금리가 낮고, 경제성장 양호로 기업 성장율이 높을 때 주식 투자 적합하다.
채권은 인플레이션 낮을 때 중앙은행 기준금리 인하 하면 시장금리도 하락하고 채권 가격 상승한다. 성장율일 낮으면 기업성장 기회가 낮아서 주식 투자는 부적합한다.
채권 투자 하면 이자수익은 쿠폰이자로 시간 경과하면 발생한다.
채권 가격은 시장금리 영향을 받고, 채권가격과 시장금리 반비례관계
채권 투자 수익은 가격변동 상관없는 쿠폰 경과에 따른 이자수익과 금리하락 시 채권가격 상승에 따른 자본 이익 또는 금리 상승으로 채권 가격 하락시 자본 손실과 같이 가격 변동에 따른 자본 손익이 있다.
해외채권은 국내채권 대비 듀레이션이 길어서 가격 변동시 자본손익의 영향이 국내 채권보다 크다.
채권 가격과 금리는 반비례 관계이라서 금리 하락시 채권 가격 상승하고, 금리 상승시 채권 가격이 하락한다.
채권 가격에 주요 변수는 인플레이션과 이자율이다. 이자율과 인플레이션이 올라가면 시소 처럼채권 가격이 하락한다.
은행이자인 명목금리는 실질이자율에 예상인플레이션을 더한 값이다.
실질이자율은 인플레이션 반영되어 있어서 실질구매력을 보여준다.
실질금리가 마이너스일 때에는 실물자산에 투자해야한다.
채권 시장에서 시장금리에 인플레이션 영향이 가장 크다.
채권 투자 시 인플레이션 전망을 고려해야 한다.
10년만기 국채금리와 소비자물가지수 비교하면 장기적으로 명목시장금리는 인프레이션에 수렴한다.
채권 가격은 인플레이션 발생하면 물가 상승으로 이자수익의 실질구매력이 줄어들어서 실질 화폐가지가 하락한다.
인플레이션 증가 하면 구매력 감소하고 신규채권 발행금리 상승을 한다고 되어 있는 데..
구매력 감소와 신규채권 금리 상승이 무슨 관계인지 모르겠다.
구매력 감소 하면 채권 구매하려는 사람이 줄어 들어서 채권 투자를 유도 하기 위해서 신규채권 발행 금리를 올리는 걸까???
인플레이션과 예상인플레이션은 단기금리와 장기금리의 연결고리?? 왜??
채권가격 직접 영향 받는 장기 시장금리는 중앙은행 관리 하지 않는다.
시장금리 역할 하는 것은 미국은 10년 만기 국채금리, 한국은 3년 만기 국채금리 이다.
미연준리와 유럽중앙은행 인플레이션 목표 2% 수준 넘어가면 기준 금리인상하여 인플레이션을 제어한다.
경제 상황이 목표인플레이션이 예상인플레이션 보다 높으면 경기 침체로 기준 금리 인하하여 경기부양, 소비촉진을 기대한다, 금리 인하 효과로 기존 채권 가격 상승을 한다.
예상 인플레이션이 목표 인플레이션 보다 높으면 기준 금리 인상 정책으로 인플레이션 제어를 하면 경기둔화되고 기존 채권 가격은 하락을 한다.
성공적인 채권 발행을 하기 위해서는 채권 투자자들에게 시장금리에 맞는 이자 수익을 제공 해야 하는 데. 이로 인하여 기존 발행되어 있는 채권들의 가치가 변동 된다.
신규 발행 채권 금리가 높으면, 금리가 상대적으로 낮은 기존 채권에 대한 인기가 떨어져서 기존채권의 가격이 떨어진다.
인플레이션 보여주는 소비자물가지수와 핵심 소비자 물가 지수가 있다.
핵심 소비자 물가는 변동 큰 음식료와 에너지를 제외한 물가지표로 단기 변동성을 배제하여 물가 추세 확인 하기 용이하다.
관련정보
[next]
2024.02.13 - [금융/채권] - 03_채권투자 핵심 노하우-채권가격의 변수와 영향
[before]
2024.02.02 - [금융/채권] - 01_채권투자 핵심 노하우-올바른 채권투자의 기초
'금융 > 채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hares 미국채권 상장지수펀드(ETF) 3종-국내상장 (28) | 2024.02.05 |
---|---|
01_채권투자 핵심 노하우-올바른 채권투자의 기초 (30) | 2024.02.02 |
채권투자 핵심노하우 (1) | 2024.01.30 |
채권펀드 (1) | 2024.01.29 |
국고채 비교 (1) | 2024.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