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본 자료는 개인이 내용 정리한 자료 입니다.

절대 종목 추천에 대한 내용이 아닙니다.

모두 투자 결정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하에 투자 진행을 각 개인 상황 맞게 진행 하세요

 

  • 퇴직연금으로 ETF 상품 매매하는 경우퇴직연금 계좌의 해지, 타 금융기관으로의 계약이전, 연금전환 등의 거래가 제한됩니다.
  • ETF 상품 및 ETF 대기자금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 보유중인 ETF 상품의 전부매도 및 ETF 대기자금의 전부이체(출금)처리를 완료하신 이후 거래가 가능합니다.
  •  ETF 상품은 운용 결과에 따라 원금의 일부 또는 전부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투자로 인한 손실은 투자자 본인에게 귀속됩니다.

 

개별 종목을 매수 하는 것 보다 대표 ETF 를 선택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수 있을 것 같다.

 

 

 

TIGER 화장품

  • 23년 2월 하락 추세 횡보
  • 23년 8월 1차 상승후 하락하여 횡보 진행
  • 24년 3월 빠른 상승 진행중
  • 당분간 상승 추세 유지 예상 됨

 

 

구분 1주 1개월 3개월 6개월 1년 상장이후
기준가격 상승7.94 상승20.70 상승32.26 상승30.93 상승39.12 하락-50.91
기초지수 상승7.95 상승20.70 상승32.29 상승30.19 상승38.38 하락-52.41
기초지수대비 하락-0.01 0 하락-0.03 상승0.74 상승0.74 상승1.50
대표지수 상승2.04 상승1.02 상승3.81 상승14.75 상승14.64 상승54.46

 

총보수

연 0.5% (운용: 0.439%, 지정참가: 0.001%, 신탁: 0.03%, 일반사무: 0.03%)

 

금융투자협회에서 확인한 펀드보수 비용과는 조금 차이가 난다.

설정일 보수율(%) 기타
비용
(B)
TER
(A+B)
판매수수료(%)
(C)
매매·중개
수수료율(D)
운용 판매 수탁 사무
관리
합계
(A)
유사유형
평균보수율
선취 후취
2015/10/06 0.439 0.001 0.030 0.030 0.500 0.647 0.05 0.55 0.000 0.000 0.0724

 

자산 구성

NO 구성종목 TOP10  비율
1
에이피알 11.86%
2
아모레퍼시픽 10.40%
3
코스맥스 10.06%
4
아모레G 10.01%
5
LG생활건강 9.85%
6
파마리서치 8.65%
7
한국콜마 8.50%
8
브이티 5.60%
9
아이패밀리에스씨 3.44%
10
코스메카코리아 3.11%

 

 

 

HANARO Fn조선해운

  • 최대 수주 실적을 기록하며 힘차게 나아가고 있는 조선해운 15종목에 투자하는 ETF
  • 23년 8월 고점에서 하락후 
  • 23년 11월 저점에서 횡보중이나 상승 추세 유지
  • 24년 4월 급 상승 중
  • 당분간 상승 추세 유지 할것 같음

 

운용보수 연 0.36%
지정참가보수 연 0.05%
신탁보수 연 0.02%
일반사무관리보수 연 0.02%
총보수 연 0.45%

 

금융투자협회에서 확인한 펀드보수 비용과는 조금 차이가 난다.

설정일 보수율(%) 기타
비용
(B)
TER
(A+B)
판매수수료(%)
(C)
매매·중개
수수료율(D)
운용 판매 수탁 사무
관리
합계
(A)
유사유형
평균보수율
선취 후취
2022/09/14 0.360 0.050 0.020 0.020 0.450 0.647 0.06 0.51 0.000 0.000 0.0127

 

 

자산구성내역 - 해운 관련 빵빵한 회사는 다 들어가 있다

번호 종목코드 종목명 비중(%)
1 10140 삼성중공업 17.38
2 42660 한화오션 16.20
3 9540 HD한국조선해양 15.61
4 11200 HMM 13.58
5 329180 HD현대중공업 12.08
6 10620 HD현대미포 10.54
7 28670 팬오션 6.59
8 82740 한화엔진 3.69
9 5880 대한해운 1.94
10 71970 STX중공업 1.47
11 3280 흥아해운 0.41
12 10600 웰바이오텍 0.27
13   원화예금 0.25

 

 

KODEX S&P글로벌인프라(합성)

  • 23년 2월 조금 상승후 하락 후 횡보 후
  • 23년 9월 하락 후 우상향 상승 추세
  • 24년 초 조정 후 빠른 회복 
  • 당분간 상승 추세 유지 예상 

 

수수료

  • 0.260% (지정참가회사 : 0.001%, 집합투자 : 0.219%, 신탁 : 0.020%, 일반사무 : 0.020%)

 

금융투자협회에서 확인한 펀드보수 비용과는 조금 차이가 난다.

설정일 보수율(%) 기타
비용
(B)
TER
(A+B)
판매수수료(%)
(C)
매매·중개
수수료율(D)
운용 판매 수탁 사무
관리
합계
(A)
유사유형
평균보수율
선취 후취
2017/05/15 0.219 0.001 0.020 0.020 0.260 0.272 0.07 0.33 0.000 0.000 0.0005

 

 

  • 수익
종목명 1개월 3개월 6개월 1년 3년 5년 연초이후 상장이후
NAV
6.29
14.42
20.57
7.65
36.6
40.53
12.09
59.97
기초지수
5.91
13.67
19.24
5.14
28.71
27.58
11.11
39.31
시장가격(종가)
5.73
14.51
21.25
6.87
35.89
40.58
11.26
58.65

 

  • 구성종목 75개중 상위 10개
번호 종목명 지수 내 비중
1 Aena SA 5.06%
2 Enbridge Inc 4.98%
3 NextEra Energy Inc 4.92%
4 Transurban Group NPV 4.91%
5 Iberdrola SA 3.28%
6 Southern Co 3.28%
7 Getlink SE 3.04%
8 Duke Energy Corp 2.96%
9 Grupo Aeroportuario del Pacifico, S.A.B. de C.V. ADR 2.88%
10 Auckland Intl Airport Ltd 2.82%
728x90

'금융 > 펀드-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장기채ETF 숨은비용  (0) 2024.04.12
미국다우존스 관련 ETF  (0) 2024.04.04
모멘텀관련 ETF  (0) 2024.04.04
미국 S&P500 펀드 비교 (2024/04/04 기준)  (0) 2024.04.04
리츠 부동산 ETF  (3) 2024.03.19
728x90

본 자료는 개인이 내용 정리한 자료 입니다. 절대 종목 추천에 대한 내용이 아닙니다.

모두 투자 결정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하에 투자 진행을 각 개인 상황 맞게 진행 하세요

 

국내 대표 미 장기채 ETF

  • 24/04/12 기준 미국 30년 국채 금리  4.5%대
  • 미국 30년 국채 상장지수펀드(ETF) 투자고민

 

미국 장기채 ETF 투자시 주의 사항

 

  • 국내 채권 ETF 가운데 100% 현물 채권  상품 없음
  • 국내 자본시장 규정상 국내 ETF에는 해외 현물 채권 30%까지 가능

 

국내 자산운용사의 미국 장기채 ETF들은 선물과 합성 등  다른 전략

 

  • 30년 미국 금리 상품 ‘같은 이름 다른 상품’
  • 수익률 2배 차이까지 벌어지는 경우 있음
  • ETF 포트폴리오 확인
  • 채권 30%  이외 구성 확인
  • 전략에 따라 상품 구성 차이로 비용과 수익률 차이 발생

 

삼성자산운용 KODEX 미국채울트라30년선물(H)

 

  • 2018년 상장된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미국 장기채 ETF
  • 미국채 울트라 선물 편입
  • 일반 현물(미국채30년 클래식 선물 듀레이션 15~25년)보다 잔존 만기가 25~30년으로 긴 게 특징
  • 잔존만기가 길면 금리변동 더욱 민감
  • 금리 인하 시작되면 더 높은 수익을 얻지만, 반대일 때는 손해도 더 커질 수 있다.

 

S&P DJI(스탠더드앤드푸어스 다우존스인다이시즈)에 의해 산출 및 관리되는 지수로, CME(시카고상업거래소)에 상장된 Ultra U.S. T-Bond Futures 최근월물을 연결한 값에서 롤오버 비용을 차감한 지수입니다.

 

동일한 지수 추종인데..

개인연금 상품과 구성 종목이 달라서 성과가 다르다

 

(레버리지/인버스) Kodex 미국채울트라30년선물 인버스(H) 304670

종목명 비중(%)
2024-04 달러선물 -
Proshares Short 20+ Year Treasury 16.39
US ULT30YR NOTE (CBT) 2024 06 83.61

 

 

(채권 / 개인연금) Kodex 미국채울트라30년선물(H) 304660

종목명 비중(%)
2024-04 달러선물 -
US ULT30YR NOTE (CBT) 2024 06 95.18
ISHARES 20+ YEAR TREASURY BO 4.82
 
 

증거금 활용하는 선물 계약 특성상 현금유동성 발생

  • 단기 우량채와 단기 채권 등에 투자해 초과 수익을 거둘 수 있다

선물 상품 - 분배금(이자) 미지급

퇴직연금(IRP·DB·DC) 투자 불가능

개인연금(연금저축)에서만 투자 가능

 

미래에셋자산운용 TIGER 미국채30년스트립액티브(합성H)

  • 분배금을 받지 않는 대신 듀레이션을 최대치(30년)로 늘린 ETF
  • 국내 상장된 미국채 ETF 중에서 만기가 가장 길다
  • 듀레이션을 길게 만들어 금리 변동에 따른 가격 변동 극대화
 
STPL Index TRS 230622-03 33.07%
Ishares 25+ Year Treasury STRIPS Bond ETF 21.96%
PIMCO 25+ Year Zero Coupon U.S. Treasury Index Exchange-Traded Fund 17.56%
STPL Index TRS 231228-02 7.37%
STPL Index TRS 230530-03 1.75%
STPL Index TRS 230530-04 0.52%
원화예금 17.76%

 

  • 채권 이자로 만기 늘리는 ‘스트립(STRIP·Separate  Trading Registered Interest and Principal of Securities)’ 전략
  • 합성형 ETF는 선물 ETF인 KODEX와 달리 개인연금은 물론 퇴직연금에서도 투자가 가능
  • 합성 상품은 ‘스와프 비용’ 등 추가 비용 발생(약 연 1.1% 내외의 비용)

 

 

한국투자신탁운용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 (H)

  • 국내 유일 실물 운용
  • 현물 ETF인 만큼 개인연금과 퇴직연금 모두에서 투자
  • 월분배금
FX스왑 USD 240312-05 20.82
ISHARES 20+ YEAR TREASURY BD 17.54
FX스왑 USD 240320-00 9.64
DRX DLY 20+ YR TREAS BULL 3X 8.90
T 4 1/4 02/15/54 8.32
FX스왑 USD 240321-20 7.30
FX스왑 USD 240319-74 6.04
T 4 1/8 08/15/53 5.47
T 3 5/8 05/15/53 4.36
FX스왑 USD 240305-11 3.87
 

 

  • 현물 채권에 
  • 미국상장 미국채30년 ETF(TLT US) 24.72%
  • 미국상장 미국채30년 일별수익률의 3배 레버리지 ETF(TMF US) 13.47%
    • 3배 레버리지 상품 주의 필
    • 레버리지 잠식(Leverage Decay) 효과
    • 금리 상승(채권가격 하락) 시 ‘음(-)의 복리 효과’가 발생해 수익률이 더 많이 깎이고,
    • 횡보할 경우에도 수익률 하락
  • 현물을 100% 담을 수 없어 레버리지 사용
  • 비중을 점차 축소 예정
  • 금리 인하기에는 레버리지가 더 큰 수익을 누릴 수 있는 효과

전략 차이는 수익률 차이-수익률(9개월 기준)

  • ACE -9.2%
  • KODEX -9.4%
  • TIGER -16.1%
    • 스트립 ETF 특성상 금리에 민감하고 변동성이 크다
    • 금리가 오를 때는 다른 ETF보다 마이너스가 크지만
    • 인하 기에는 더 크게 수익을 얻을 수 있다
    • 실제로 금리 하락 구간이었던 6개월 수익률은 TIGER 상품이 더 좋았다.

국내에선 100% 실물 채권을 담을 수 없는 상황

미국장기채 ETF 복잡한 구조

숨어 있는 비용이 만만치 않다

수익률을 갉아먹는다

겉으로 드러난 총보수만 보고 투자하면 안 되는 이유

 

 

합성 ETF의 경우 스와프 비용이 숨겨진 비용

  • 스와프 비용이 ‘1.1% 이내’
  • 총보수는 0.15%
  • 합성으로 채권의 만기를 극대화한 만큼 수익이 날 때 (스와프 비용이) 상쇄될 수 있다

 

국내 운용사들의 경쟁적으로 ETF 보수를 낮추고 있다

평균적으로 총보수가 해외 운용사 ETF보다 싸다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 ETF의 총보수는 연 0.05%

  • 미국에 상장된 장기채 ETF인 TLT의 3분의 1 수준

 

  • 국내 운용사 ETF 다수가 해외 상장 ETF 재투자
  • 부담은 투자자들의 몫(피투자 ETF 보수)
  • 미국 ETF의 수수료(피투자 ETF 보수)에 각 국내 운용사의 수수료까지 이중 부담

환헤지 수수료 역시 투자자들이 알아채기 힘든 비용

  • 미국 장기채 ETF 상당수는 (H) 표시된 환헤지 상품
  • 환헤지는 환율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어 좋은 선택지
  • 미국 금리가 한국 금리보다 이례적으로 높은 지금 같은 상황에선 환헤지 수수료가 비싸다.

 

실제로 투자자 지불 총비용

  • 총보수+피투자보수+환헤지 비용+스와프 비용+기타 비용

 

운용사 단수보수 총비용
ACE 0.05% 1.57%
TIGER 0.15% 1.30%
KODEX 0.30% 0.53%

 

 

이런 비용 유추할 수 있는 방법

  • ETF 기준가격과 기초지수와의 차이인 ‘추적오차’ 확인
  • 비용이 커지면 ETF가 따라가야 하는 기초지수보다 ETF의 기준가격이 뒤처질 수밖에 없다
  • 기준가격이 기초지수를 크게 밑돈다면 잘 운용되지 못하고 있거나 비용을 많이 지불

 

1년 수익률 기준

  • KODEX는 ETF 기준가격이 기초지수보다 2.3% 높았다
  • 나머지 두 ETF는 기준가격이 기초지수에 못 미쳤다.
728x90

'금융 > 펀드-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F분석] 2024/05/14  (0) 2024.05.14
미국다우존스 관련 ETF  (0) 2024.04.04
모멘텀관련 ETF  (0) 2024.04.04
미국 S&P500 펀드 비교 (2024/04/04 기준)  (0) 2024.04.04
리츠 부동산 ETF  (3) 2024.03.19
728x90

관련정보

2024.04.04 - [금융/펀드-ETF] - 모멘텀관련 ETF

2024.04.04 - [금융/펀드-ETF] - 미국 S&P500 펀드 비교 (2024/04/04 기준)

2024.04.03 - [금융/전망] - S&P 500 지수: 역사적인 강세장 속 풀백 매수해야 할 8가지 이유

 

 

본 자료는 개인이 내용 정리한 자료 입니다. 절대 종목 추천에 대한 내용이 아닙니다.

모두 투자 결정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하에 투자 진행을 각 개인 상황 맞게 진행 하세요

 

 

NO 종목명 순자산 거래량 1W수익률(%) 1M수익률(%) 3M수익률(%) 6M수익률(%) 1Y수익률(%) 3Y수익률(%) 총보수(%) 운용사
1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4,982 377,618 0.57 4.86 8.06 14.10 15.02   0.01 신한자산운용
2 ACE 미국배당다우존스 2,795 217,774 0.56 4.90 8.08 14.07 14.94   0.01 한국투자신탁운용
3 TIGER 미국다우존스30 923 14,516 -0.65 1.85 7.29 16.59 22.49 44.86 0.35 미래에셋자산운용
4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7,449 727,586 0.39 4.73 7.95 13.69     0.01 미래에셋자산운용
5 TIGER 미국배당+7%프리미엄다우존스 4,944 937,109 0.63 4.62 6.43 9.60     0.39 미래에셋자산운용
6 SOL 미국배당다우존스(H) 1,562 164,388 0.59 3.35 4.13 12.47 9.53   0.05 신한자산운용
7 TIGER 미국배당+3%프리미엄다우존스 512 73,059 0.69 4.64 7.05 11.84     0.39 미래에셋자산운용
8 KODEX 다우존스미국리츠(H) 183 10,211 -0.31 -0.57 -5.80 11.93 3.32 -3.82 0.09 삼성자산운용
9 ACE 미국다우존스리츠(합성 H) 140 184 -0.28 -0.62 -5.22 11.63 2.14 -9.45 0.30 한국투자신탁운용
10 ARIRANG 미국다우존스고배당주(합성 H) 135 4,191 1.86 5.37 3.55 12.21 3.35 3.92 0.40 한화자산운용

 

 

(01) SOL 미국배당다우존스분배금을 매월 지급하는 한국판 SCHD, 미국 대표 배당성장 ETF

  • 개인연금 / 퇴직연금
  • 분배금을 매월 지급하는 한국판 SCHD, 미국 대표 배당성장 ETF
  • 월배당
1 VERIZON COMMUNICATIONS 4.05%
2 CHEVRON 4.00%
3 LOCKHEED_MARTIN 4.00%
4 TEXAS INSTRUMENTS 3.99%
5 Bristol Myers Squibb 3.95%
6 CISCO_SYSTEMS 3.92%
7 PEPSICO INC 3.92%
8 PFIZER INC 3.89%
9 ABBV 3.88%
10 BLACKROCK INC 3.85%

 

 

(02) ACE 미국배당다우존스

  • 개인연금 / 퇴직연금
  • 월배당
  • Dow Jones U.S. Dividend 100 Price return Index
    10년 연속 배당금을 지급한 미국 상장 종목 중 고배당 퀄리티 요건을 충족한 상위 100종목으로 구성된 지수로 S&P Dow Jones에서 산출
1 VERIZON COMMUNICATIONS INC 4.09
2 LOCKHEED MARTIN CORP 4.05
3 CHEVRON CORP 4.04
4 TEXAS INSTRUMENTS 4.03
5 BRISTOL-MYERS SQUIBB CO 3.99
6 CISCO SYSTEMS INC 3.96
7 PEPSICO INC 3.96
8 PFIZER INC 3.93
9 ABBVIE INC 3.92
10 UNITED PARCEL SERVICE-CL B 3.89

 

 

(03) TIGER 미국다우존스30

  • 개인연금 / 퇴직연금
  • 분배금을 매월 지급하는 한국판 SCHD, 미국 대표 배당성장 ETF
  • 월배당
1  UnitedHealth Group Inc  7.34%
2  DJIA MINI e-CBOT JUN24  7.15%
3  Microsoft Corp  6.75%
4  Goldman Sachs Group Inc/The  6.57%
5  Caterpillar Inc  5.85%
6  Home Depot Inc/The  5.82%
7  Salesforce Inc  4.87%
8  Visa Inc  4.46%
9  McDonalds Corp  4.45%
10  Amgen Inc  4.43%

 

 

(04)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 개인연금 / 퇴직연금
  • 한국판 SCHD + 월배당, 업계 최저 보수 인하!
  • 분배금을 매월 지급하는 한국판 SCHD, 미국 대표 배당성장 ETF

 

1  Verizon Communications Inc  4.05%
2  Chevron Corp  4.01%
3  Lockheed Martin Corp  4%
4  Texas Instruments Inc  3.99%
5  Bristol-Myers Squibb Co  3.96%
6  Cisco Systems Inc  3.92%
7  PepsiCo Inc  3.92%
8  Pfizer Inc  3.89%
9  AbbVie Inc  3.88%
10  BlackRock Inc  3.85%

 

 

(05) TIGER 미국배당+7%프리미엄다우존스

  • 개인연금 / 퇴직연금
  • 한국판 SCHD에 프리미엄을 더하다
  • DowJones U.S. Dividend 100 7% Premium Covered Call 지수(TR) : Dow Jones U.S Dividend 100 지수 구성종목의 수익률과 S&P500 ATM 콜옵션 매도 수익률이 합산되어 산출되는 지수
1  Verizon Communications Inc  3.98%
2  Chevron Corp  3.94%
3  Lockheed Martin Corp  3.93%
4  Texas Instruments Inc  3.92%
5  Bristol-Myers Squibb Co  3.89%
6  Cisco Systems Inc  3.86%
7  PepsiCo Inc  3.85%
8  Pfizer Inc  3.83%
9  AbbVie Inc  3.81%
10  BlackRock Inc  3.79%

 

 

(06) SOL 미국배당다우존스(H)

  • 개인연금 / 퇴직연금
  • 분배금을 매월 지급하는 한국판 SCHD, 미국 대표 배당성장 ETF
  • 월배당
  • 헷지 등록
  • 헷지 수수료 문제인지 수익률이 언헷지 동일 상품 대비 조금 낮다
1 VERIZON COMMUNICATIONS 4.08%
2 CHEVRON 4.04%
3 LOCKHEED_MARTIN 4.03%
4 TEXAS INSTRUMENTS 4.02%
5 Bristol Myers Squibb 3.98%
6 CISCO_SYSTEMS 3.95%
7 PEPSICO INC 3.95%
8 PFIZER INC 3.92%
9 ABBV 3.91%
10 BLACKROCK INC 3.88%

 

 

 

(07) TIGER 미국배당+3%프리미엄다우존스

  • 개인연금 / 퇴직연금
  • 한국판 SCHD에 프리미엄을 더하다
  • DowJones U.S. Dividend 100 3% Premium Covered Call 지수(TR)
     Dow Jones U.S Dividend 100 지수 구성종목의 수익률과 S&P500 ATM 콜옵션 매도 수익률이 합산되어 산출되는 지수
1  Verizon Communications Inc  3.96%
2  Chevron Corp  3.92%
3  Lockheed Martin Corp  3.92%
4  Texas Instruments Inc  3.90%
5  Bristol-Myers Squibb Co  3.87%
6  Cisco Systems Inc  3.84%
7  PepsiCo Inc  3.83%
8  Pfizer Inc  3.81%
9  AbbVie Inc  3.79%
10  BlackRock Inc  3.77%

 

 

(08) KODEX 다우존스미국리츠(H)

  • 개인연금 / 퇴직연금
  • 월배당
  • Dow Jones US Real Estate Index
    미국 거래소 상장된 REITs(Real Estate Investment Trusts)와 부동산개발·관리·보유·중개 등 부동산 관련 기업
1 PROLOGIS INC PLD US Equity 9.0
2 AMERICAN TOWER CORP AMT US Equity 7.0
3 EQUINIX EQIX US Equity 5.8
4 Dow Jones US REAL 2024 06 DJEM4 Equity 4.7
5 WELLTOWER INC WELL US Equity 3.9
6 SIMON PROPERTY GROUP INC SPG US Equity 3.8
7 PUBLIC STORAGE PSA US Equity 3.5
8 CROWN CASTLE Inc CCI US Equity 3.5
9 REALTY INCOME CORP O US Equity 3.4
10 DIGITAL REALTY TRUST INC DLR US Equity 3.3

 

 

(09) ACE 미국다우존스리츠(합성 H)

  • 개인연금 / 퇴직연금
  • 분배금 : 미지급 후 재투자
  • 스왑(NH투자증권) 100%
  • Dow Jones US Real Estate Index
    미국 주식시장에 상장된 REITs와 부동산관련 회사 주식으로 Dow Jones에서 산출하는 지수. 주요 미국거래소에 상장된 모든 주식을 대상으로 Dow Jones U.S. Index를 구성. Dow Jones US Real Estate Index는 Dow Jones U.S. Index의 하위 섹터 인덱스로 분기별 정기변경 이외에도 상장폐지, 파산, 인수, 합병 등의 예외적인 이벤트 발생시 지수 재구성 및 비중 조정.

 

(10) ARIRANG 미국다우존스고배당주(합성 H)

  • 분기 배당
  • 스왑(미래에셋증권_221028) 99.83%
  • 보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이유가 있네요.

 

관련정보

2024.04.04 - [금융/펀드-ETF] - 모멘텀관련 ETF

2024.04.04 - [금융/펀드-ETF] - 미국 S&P500 펀드 비교 (2024/04/04 기준)

2024.04.03 - [금융/전망] - S&P 500 지수: 역사적인 강세장 속 풀백 매수해야 할 8가지 이유

 

728x90

'금융 > 펀드-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F분석] 2024/05/14  (0) 2024.05.14
미국장기채ETF 숨은비용  (0) 2024.04.12
모멘텀관련 ETF  (0) 2024.04.04
미국 S&P500 펀드 비교 (2024/04/04 기준)  (0) 2024.04.04
리츠 부동산 ETF  (3) 2024.03.19
728x90

관련정보

2024.04.04 - [금융/펀드-ETF] - 미국 S&P500 펀드 비교 (2024/04/04 기준)

 

 

본 자료는 개인이 내용 정리한 자료 입니다. 절대 종목 추천에 대한 내용이 아닙니다.

모두 투자 결정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하에 투자 진행을 각 개인 상황 맞게 진행 하세요

 

 

 

2024/04/04 자로 모멘텀 관련 ETF 를 증권정보포탈에서 정리 해보았다.

'달리는 말에 올라타라.'

  • 모멘텀주 :  최근 반년에서 1년 사이 주가 급등한 주식
  • 단순 시가총액이 아닌 최근 성과에 따라 구성종목 자동 교체
  • 주도주 장세 빠르게 반영하는 모멘텀 상장지수펀드

 

자산 규모/거래량 빨간색은 한번 주의해서 확인 해볼 필요가 있다.

 

내 기준에는 TIGER 모멘텀이 가장 호감 있는 상품이다.

NO 종목명 유형 순자산 종가 거래량 1W수익률(%) 1M수익률(%) 3M수익률(%) 6M수익률(%) 1Y수익률(%) 3Y수익률(%) 총보수(%) 운용사
1 TIGER 모멘텀 투자전략 74 26,400 495 1.40 7.10 8.15 8.27 21.29 20.60 0.29 미래에셋자산운용
2 KBSTAR 모멘텀밸류 투자전략 24 16,080 561 -2.34 1.87 13.20 15.27 24.84 12.23 0.35 케이비자산운용
3 KODEX 모멘텀Plus 투자전략 78 12,945 680 -0.84 6.85 7.16 8.78 22.54 11.82 0.30 삼성자산운용
4 KBSTAR 모멘텀로우볼 투자전략 16 15,880 262 -2.13 2.32 11.91 17.28 19.10 0.20 0.35 케이비자산운용
5 KODEX MSCI모멘텀 MSCI Korea Index 76 12,695 1,373 -2.87 4.27 13.10 11.51 17.52 -6.37 0.30 삼성자산운용
6 ACE 스마트모멘텀 투자전략 80 15,950 245 -0.62 5.04 10.30 17.45 17.12 -7.74 0.19 한국투자신탁운용
7 ARIRANG KS모멘텀가중TR 투자전략 82 14,970 754 -0.73 6.02 9.87 12.05 14.62 -8.24 0.25 한화자산운용

 

 

(1) TIGER 모멘텀

  • 개인연금 / 퇴직연금 가입 가능
  • 에프앤가이드 모멘텀 지수(FnGuide Momentum Index)
1 한미반도체 7.35%
2 효성중공업 4.78%
3 SK스퀘어 4.69%
4 메리츠금융지주 4.08%
5 크래프톤 3.79%
6 삼성전자 3.44%
7 코스맥스 3.42%
8 기아 3.39%
9 현대모비스 3.32%
10 한전KPS 3.18%


(2) KBSTAR 모멘텀밸류

  • FnGuide 모멘텀&밸류 지수 : FnGuide가 산출하는 주가지수로, 유가증권 시장에 상장된 주식 중 우량한 종목을 선별하고, 선별된 종목 중 모멘텀지표와 가치지표가 우수한 종목들을 투자대상으로 선별하여 시가총액 가중방식으로 산출한 지수
1 삼성전자 28.17
2 KB금융 8.64
3 신한지주 7.66
4 현대차 7.56
5 기아 7.43
6 POSCO홀딩스 5.76
7 현대모비스 3.66
8 하나금융지주 3.48
9 삼성화재 2.33
10 우리금융지주 2.29

 

(3) KODEX 모멘텀Plus

  • 개인연금 / 퇴직연금 가입 가능
  • FnGuide 모멘텀 Plus 지수  : 장기 모멘텀이 상위인 종목들을 구성

 

1 빙그레 4.6
2 삼성전자 3.5
3 HD현대일렉트릭 3.5
4 현대엘리베이 3.2
5 경동나비엔 3.0
6 클래시스 3.0
7 한미반도체 3.0
8 삼양식품 2.9
9 아세아제지 2.9
10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2.8

 

 

(4) KBSTAR 모멘텀로우볼

  • FnGuide 모멘텀&로우볼 지수 : FnGuide가 산출하는 주가지수로, 유가증권 시장에 상장된 주식 중 우량한 종목을 선별하고, 선별된 종목 중 모멘텀지표가 높고 변동성이 낮은 종목들을 투자대상으로 선별하여 시가총액 가중방식으로 산출한 지수
  • 하나금융지주 / 우리금융지주 대신 SK하이닉스 / 삼성물산 구성
1 삼성전자 2,681 28.42
2 SK하이닉스 385 8.7
3 현대차 280 7.62
4 기아 584 7.49
5 POSCO홀딩스 116 5.83
6 KB금융 478 4.06
7 신한지주 647 3.55
8 삼성물산 149 2.82
9 현대모비스 92 2.79
10 삼성화재 48 1.82

 

 

(5) KODEX MSCI모멘텀

  • 개인연금 / 퇴직연금 가입 가능
  • MSCI KOREA IMI Momentum Capped Index : 각 종목별 6개월 및 12개월 가격모멘텀(가격수익률) 핵심지표 종목 산정
1 SK하이닉스 22.27
2 POSCO홀딩스 5.81
3 에코프로 3.35
4 KB금융 3.30
5 한미반도체 2.98
6 기아 2.90
7 셀트리온 2.57
8 현대차 2.54
9 메리츠금융지주 2.01
10 삼성화재 1.88

 

 

 

 

(6) ACE 스마트모멘텀

  • 개인연금 / 퇴직연금 가입 가능
  • Fnguide 스마트 모멘텀 지수(Fnguide Smart Momentum Index)   : 장기 모멘텀이 상위인 종목들을 구성
1 삼성전자 28.83
2 SK하이닉스 8.29
3 현대차 2.38
4 셀트리온 2.34
5 KB금융 2.05
6 NAVER 2.04
7 기아 1.94
8 신한지주 1.91
9 POSCO홀딩스 1.86
10 삼성바이오로직스 1.75

 

(7) ARIRANG KS모멘텀가중TR

  • FnGuide KS 모멘텀 가중 지수 지수 :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보통주 중 모멘텀 팩터의 노출도를 최대화 하는 종목별 최적의 편입비중 산출하여 구성
1 삼성전자 22.09
2 SK하이닉스 7.69
3 기아 3.39
4 한화에어로스페이스 3.10
5 LG에너지솔루션 2.96
6 한미반도체 2.88
7 메리츠금융지주 2.71
8 POSCO홀딩스 2.60
9 포스코퓨처엠 2.02
10 삼성중공업 2.00

 

 

관련정보

2024.04.04 - [금융/펀드-ETF] - 미국 S&P500 펀드 비교 (2024/04/04 기준)

728x90

'금융 > 펀드-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장기채ETF 숨은비용  (0) 2024.04.12
미국다우존스 관련 ETF  (0) 2024.04.04
미국 S&P500 펀드 비교 (2024/04/04 기준)  (0) 2024.04.04
리츠 부동산 ETF  (3) 2024.03.19
비만치료제 ETF 3종 비교  (1) 2024.03.06
728x90

관련정보

 

2024.04.03 - [금융/전망] - S&P 500 지수: 역사적인 강세장 속 풀백 매수해야 할 8가지 이유

2024.01.18 - [금융/펀드-ETF] - 미국S&P500 해외지수펀드 비교

 

본 자료는 개인이 내용 정리한 자료 입니다. 절대 종목 추천에 대한 내용이 아닙니다.

모두 투자 결정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하에 투자 진행을 각 개인 상황 맞게 진행 하세요

 

 

2024/04/04 기준으로 증권정보포탈에서 펀드 중에서 미국 S&P500 펀드를 확인 하여 정리 하였습니다.

파생, 섹터는 제외하고 순수 S&P500 지수 펀드만 비교 하였습니다.

  1. 7번 이후는 순자산이 1,000 억 미만 상품 입니다.
  2. 5번/6번은 헤지 가입 되어 있어서 인지 다른 상품 대비 조금 낮은 수익율
  3. TIGER 미국S&P500 자산이 다른 상품 대비 압도적이네요.. 보수를 좀 내릴려나??
  4. 최근에는 마이너스 수익율 이네요..
  5. 1년 수익율 30%만 유지 해주면 좋겠네요..
관심이 있는 상품은 해당 운용사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면 됩니다.
NO 종목명 순자산 종가 거래량 1W수익률(%) 1M수익률(%) 3M수익률(%) 6M수익률(%) 1Y수익률(%) 2Y수익률(%) 총보수(%) 운용사
1 TIGER 미국S&P500 30,441 17,510 1,451,586 -0.51 3.82 13.42 21.75 31.50 29.24 0.07 미래에셋자산운용
2 KODEX 미국S&P500TR 9,939 15,895 456,327 -0.41 3.89 13.58 21.94 31.69 29.76 0.05 삼성자산운용
3 ACE 미국S&P500 9,118 17,695 286,055 -0.48 3.81 13.51 21.73 31.41 29.65 0.07 한국투자신탁운용
4 KBSTAR 미국S&P500 3,364 15,255 136,508 -0.49 3.83 13.45 21.74 31.34 29.39 0.02 케이비자산운용
5 KODEX 미국S&P500(H) 2,180 12,295 89,142 -0.45 2.42 9.28 20.38 24.52   0.05 삼성자산운용
6 TIGER 미국S&P500TR(H) 2,065 12,610 115,118 -0.47 2.44 9.60 20.55 24.98   0.07 미래에셋자산운용
7 SOL 미국S&P500 760 14,580 32,750 -0.48 3.88 13.48 21.70 31.48   0.05 신한자산운용
8 ARIRANG 미국S&P500(H) 640 21,305 8,977 -0.49 2.55 9.73 20.44 25.36 13.31 0.30 한화자산운용
9 KBSTAR 미국S&P500(H) 260 12,960 25,789 -0.58 2.37 9.25 20.30 25.65   0.02 케이비자산운용
10 KOSEF 미국S&P500 239 14,035 12,478 -0.39 3.89 13.63 22.02 31.62   0.02 키움투자자산운용
11 ARIRANG 미국S&P500 198 13,205 17,127 -0.45 3.85 13.45 20.65 29.88   0.07 한화자산운용
12 WOORI 미국S&P500 132 13,125 11,060 -0.53 2.94 12.66 20.75 30.99   0.05 우리자산운용
13 KOSEF 미국S&P500(H) 106 13,275 34,065 -0.52 2.59 9.71 20.14 25.06   0.04 키움투자자산운용
14 HANARO 미국S&P500 79 13,070 3,255 -0.38 2.51 12.46 20.41 29.96   0.05 엔에이치아문디자산운용

관련정보

 

2024.04.03 - [금융/전망] - S&P 500 지수: 역사적인 강세장 속 풀백 매수해야 할 8가지 이유

2024.01.18 - [금융/펀드-ETF] - 미국S&P500 해외지수펀드 비교

 

728x90

'금융 > 펀드-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다우존스 관련 ETF  (0) 2024.04.04
모멘텀관련 ETF  (0) 2024.04.04
리츠 부동산 ETF  (3) 2024.03.19
비만치료제 ETF 3종 비교  (1) 2024.03.06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  (1) 2024.03.05
728x90

본 자료는 개인이 내용 정리한 자료 입니다. 절대 종목 추천에 대한 내용이 아닙니다.

모두 투자 결정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하에 투자 진행을 각 개인 상황 맞게 진행 하세요

 

금리인하 시점이 자꾸 늦어지고 있어서 살짝 부담이기는 하지만..

월배당 상품으로 관심을 두고 있을 필요가 있을 것 같다.

 

  1.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
    • 상장일 : 2024.03.05
    • 순자산 총액 : 186억원
    • 총 보수(연) : 0.090% (지정참가회사 : 0.001%, 집합투자 : 0.069%, 신탁 : 0.010%, 일반사무 : 0.010%)
    • 상장 8영업일동안 개인 109억원 순매수(한국거래소 24.03.14.기준)
    • 매월 15일 기준 배당 예정
    • 시세 차익 비과세
    • 배당금 9.9% 분리과세 가능

    • 앞서 지난 5일 상장된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는
    • 국내 인프라 자산과 국내 상장 리츠 분산 투자 부동산 ETF
    • 국내 유일한 인프라 펀드인 맥쿼리인프라 국내 ETF 중 최대 비중인 25%
    • 국내 대표 상장 리츠인 제이알글로벌리츠, ESR 켄달스퀘어리츠, SK리츠, 신한알파리츠 등 14종 분산투자
    • 매월 15일을 지급 기준으로 매월 배당금 지급
    • 국내 상장 리츠 및 인프라펀드 투자 시세 차익 비과세
    • 타 리츠ETF와 달리 조세특례법에 따라 3년 이상 보유 시 투자금 최대 5천만원까지 배당소득에 대해 9.9% 분리과세를 적용 받을 수 있어 세제상 이점
      • 공모부동산집합투자기구로서 분리과세 신청시 분배금에 대한 특례 혜택이 적용됨 (관련 법규 : 조세특례제한법 제87조의 7 및 동법 시행령 제81조의 4)
    • 총 보수도 연 0.09%로 매월 배당금을 지급하는 국내 리츠 월 배당 ETF 중 최저 수준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 ETF 24/03/19 0.08% 인하전 기준)
    • 월 배당 투자 안정적인 현금흐름 원하는 연금 투자자들 좋은 투자 상품
    • 분배금 지급 : 매월 마지막 영업일(회계기간 종료일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 그 직전 영업일)
    • 지수정보 : Solactive Global Realty Income 지수는 세계 최대 상업용 리츠인 미국 Realty Income(Ticker: O, 18%)과 국내 맥쿼리인프라(18%) 및 미국 상장리츠로 구성된 지수
    • 상품구성
    • 종목명 비중(%)
      맥쿼리인프라 25.01
      제이알글로벌리츠 11.10
      ESR켄달스퀘어리츠 10.27
      SK리츠 9.00
      신한알파리츠 8.60
      코람코라이프인프라리츠 6.45
      롯데리츠 6.24
      KB스타리츠 4.92
      삼성FN리츠 3.68
      한화리츠 3.09
      디앤디플랫폼리츠 2.91
      이리츠코크렙 2.57
      코람코더원리츠 2.51
      NH올원리츠 2.08
      신한서부티엔디리츠 1.59
  2. KBSTAR 글로벌리얼티인컴 ETF
    • 상장일 : 2024.02.20
    • 기준가격 (NAV) : 10,028원
    • 순자산규모 : 250억
    • 세계 최대 상업용 리츠인 미국 Realty Income(Ticker: O, 18%), 국내 맥쿼리인프라(18%)에 집중 투자하는 ETF

    • 미국 리츠 섹터 중 수익성 고려 4개 하위 섹터중 배당성장성 좋은 2종목씩 선별 동일가중 투자
    • 금리 하향안정화 기대에 따라 2년간 가격 조정을 받은 리츠 자산의 반등에 주목
    • 고금리 장기화에 대비해온 리츠들의 재무구조 강화, 밸류에이션 매력 증가 등으로 월배당 선호 투자자들 새로운 투자 대안
    • 상품구성 (TOP10 종목)
    • 순위 보유종목 비중(%)
      1 맥쿼리인프라 17.08
      2 Realty Income Corp 16.09
      3 American Tower Corp 8.71
      4 Equinix Inc 8.37
      5 Digital Realty Trust Inc 8.32
      6 Prologis Inc 8.27
      7 Crown Castle Inc 8.24
      8 Sun Communities Inc 7.87
      9 EastGroup Properties Inc 7.5
      10 Equity LifeStyle Properties Inc 7.17
  3.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 ETF 
    • 최초설정일 : 2019.07.18
    • 기준가격(NAV) ; 4,457.47원
    • 순 자산 규모 : 380.6억원
    • 미래에셋자산운용은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 상장지수펀드(ETF)’의 총보수를 연 0.29% 에서 0.08% 인하 (2024/03/19 발표)
    • 국내 상장 리츠(REITs·부동산투자회사) ETF 중 최저 수준
    • 2019년 7월 상장한 국내 최초 리츠 ETF
    • 18일 종가 기준 순자산은 3784억 원으로 규모 측면에서도 가장 큰 리츠 ETF
    • 최근 1년간 개인 투자자들 순매수 규모 1000억 원 이상
    • 미국 기준금리 인하 예상
    • 실물 부동산대출 금리 하락 안정화
    • 리츠 배당 확대 법안 등 시장 호재

    • 맥쿼리인프라, SK리츠 등 국내 상장 우량 리츠 선별 투자
    • 오피스, 호텔, 물류창고 등 리츠의 보유자산 발생 임대로 기초로 매달 분배금 지급 월배당형 ETF
    • 연 6% 수준의 높은 배당수익률
    • 지난해 누적분배율은 6.94%로, 국내 상장된 전체 월배당 ETF 중 4위
    • 배당률 높은 커버드콜 전략 상품 제외 1위
    • 구성종목 TOP10
    • 맥쿼리인프라 16.62%
      SK리츠 12.71%
      ESR켄달스퀘어리츠 10.17%
      제이알글로벌리츠 9.49%
      롯데리츠 9.28%
      신한알파리츠 7.08%
      코람코라이프인프라리츠 5.24%
      KB스타리츠 4.87%
      삼성FN리츠 4.59%
      맵스리얼티1 4.57%
  • 배당율 (2023.03~2024.02) : 2024/03/19 기준 주당시장가격 기준
  • 지급기준일 분배금액(원)
    2024-02-29 35
    2024-01-31 9
    2023-12-28 11
    2023-11-30 10
    2023-10-31 27
    2023-09-27 35
    2023-08-31 22
    2023-07-31 12
    2023-06-30 7
    2023-05-31 7
    2023-04-28 30
    2023-03-31 34
    합계        239
    주당시장가격    4,460
    배당율(연) 5.36%
728x90

'금융 > 펀드-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멘텀관련 ETF  (0) 2024.04.04
미국 S&P500 펀드 비교 (2024/04/04 기준)  (0) 2024.04.04
비만치료제 ETF 3종 비교  (1) 2024.03.06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  (1) 2024.03.05
KODEX 미국빅테크10(H) ETF  (4) 2024.02.27
728x90

관련정보

2024.01.25 - [금융/전망] - 삼성증권 글로벌 주간 레포트 (2024년 1월 4주차)

 

본 자료는 개인이 내용 정리한 자료 입니다. 절대 종목 추천에 대한 내용이 아닙니다.

모두 투자 결정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하에 투자 진행을 각 개인 상황 맞게 진행 하세요

 

 

 

비만치료제 ETF 3종 비교

24년 2월 에 출시, KODEX 가 2주 정도 빠르네요. 그래서 인지 가격이 조금 올랐네요..

종목명 상장일 자산 퇴직연금 분배금 지수 보수 종가
KODEX 글로벌비만치료제TOP2 Plus 24.02.14 617억 가능 3개월 iSelect 글로벌 비만치료제 TOP2 Plus 지수(PR) 0.45% 11,935
TIGER 글로벌비만치료제TOP2Plus 24.02.29 224억 가능   Indxx Global Obesity Treatment Top 2 Plus 지수(Price Reutrn) 0.45% 10,165
KBSTAR 글로벌비만산업TOP2+ 24.02.27 85억 가능 3개월 KEDI 글로벌 비만산업 Top2+ 지수 0.35% 10,096

 

  • KBSTAR 는 자산이 조금 작으나, 보수가 저렴
  • TIGER 는 홈페이지에 분배금에 대한 내용 못찾음
  • 보수는 금융투자협회에서 검색이 안되어서 홈페이지 기준으로 정리
  • 개인연금/퇴직연금 투자 가능

 

 

주요 종목 1/2위는 ELI LILLY & CO 와 Novo Nordisk A/S 로 비중이 조금씩 다르고
나머지 구성도 조금씩 차이가 있다.

주요종목 KODEX TIGER KBSTAR
ELI LILLY & CO 23.39 28.65 28.48
Novo Nordisk A/S 22.82 28.96 28.27

 

  • 비만 주사제 제조사인 일라이 릴리는 현재 글로벌 헬스케어 섹터 내 시가총액 1위 기업
  • 덴마크 제약사 노보 노디스크는 세계적으로 열풍을 일으킨 비만치료제를 개발한 유럽 전체 대장주
728x90

'금융 > 펀드-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S&P500 펀드 비교 (2024/04/04 기준)  (0) 2024.04.04
리츠 부동산 ETF  (3) 2024.03.19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  (1) 2024.03.05
KODEX 미국빅테크10(H) ETF  (4) 2024.02.27
[ETF] 하이일드  (17) 2024.02.24
728x90

관련정보

2024.02.27 - [금융/펀드-ETF] - KODEX 미국빅테크10(H) ETF

 

본 자료는 개인이 내용 정리한 자료 입니다. 절대 종목 추천에 대한 내용이 아닙니다.

모두 투자 결정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하에 투자 진행을 각 개인 상황 맞게 진행 하세요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가 오늘 상장이 되었네요..

금리인하가 되면 부동산 리츠가 유리할것 같은데..

  1. 국내 상장 리츠 ETF 중 맥쿼리인프라를 최대비중(25%) * 2024.01.31 한국거래소 기준
  2. 배당주 대명사 "맥쿼리인프라" : 매년 꾸준한 실적 성장 기대 -> 안정적인 배당 원천 보유
  3. 서울 3대 오피스 권역 + 브뤼셀(벨기에) & 뉴욕(미국) 등 A급 오피스 등에 투자하는 ETF
  4. 소액으로 시작하는 부동산 투자 : 최소 투자금액 단돈 5천원

상품정보

  • 순자산 총액 143억원
  • 상장일 2024.03.05
  • 최소거래단위 1주
  • 설정단위 50,000좌
  • 사무수탁사 신한펀드파트너스
  • 수탁은행 한국씨티은행
  • 기초지수정보 : KRX 부동산리츠인프라 지수
    • 유가증권시장 상장 부동산투자회사 종목 및 사회기반시설투융자회사 종목과 유가증권시장 및 코스닥 시장 상장 보통주 구성종목으로 산출 지수

 

투자종목정보

 

종목명 수량 비중(%) 평가금액(원)
원화예금 386,329 - 386,329
맥쿼리인프라 4,992 25.12 63,847,680
제이알글로벌리츠 6,907 11.14 28,318,700
ESR켄달스퀘어리츠 6,438 10.22 25,977,330
신한알파리츠 3,199 9.08 23,064,790
SK리츠 5,718 8.97 22,786,230
코람코라이프인프라리츠 3,261 6.36 16,174,560
롯데리츠 4,884 6.11 15,531,120
KB스타리츠 3,069 4.85 12,322,035
삼성FN리츠 1,854 3.67 9,325,620
한화리츠 1,540 3.05 7,761,600
디앤디플랫폼리츠 2,107 2.81 7,132,195
이리츠코크렙 1,349 2.61 6,630,335
코람코더원리츠 1,284 2.50 6,342,960
NH올원리츠 1,490 1.99 5,051,100
신한서부티엔디리츠 1,023 1.52 3,861,825

 

관련정보

2024.02.27 - [금융/펀드-ETF] - KODEX 미국빅테크10(H) ETF

 

728x90

'금융 > 펀드-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츠 부동산 ETF  (3) 2024.03.19
비만치료제 ETF 3종 비교  (1) 2024.03.06
KODEX 미국빅테크10(H) ETF  (4) 2024.02.27
[ETF] 하이일드  (17) 2024.02.24
KBSTAR 글로벌원자력iSelect (442320)  (2) 2024.02.16
728x90

관련정보

2024.01.15 - [금융/채권] - (미)국채ETF (SEIBro 2024.01.15 기준)

2024.02.06 - [금융/전망] - 2024년 금리인하시 투자전략

 

 

본 자료로 투자 결정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 하지 마세요.

투자 진행은 각 개인의 상황에 맞게 진행 하세요

Kodex 미국FANG플러스 상품명이 KODEX 미국빅테크10(H) ETF 로 바뀌었다고 합니다

 

요즘 핫 이슈은 미국빅테크7에 3개 업체 추가 해서 미국빅테크10 

그리고, (H)가 있는 것보니 환헷지 실시하는 것 같네요..

 

매그니피센트 7’의 시가총액 총합이 G20(주요국 20) 국가보다 높다고 하네요.

시총기준으로는 세계 국가 2위 수준 규모의 미국 빅테크 주식 한 번에 투자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홍보를 하네요.

 

구미가 당기는 데..

 

너무 많이 올라서 살짝 부담 스럽지만..

우상향 할거라는 믿음으로 투자를 해야 할까??

 

 

 

ROE(Return on Equity) 자본수익률
기업 주주들의 투자로부터 얼마나 많은 수익을 창출하는지 측정 지표로 순이익을 자기자본으로 나눈 % 입니다.

  • Net Income : 기업 특정 기간 순이익 
  • Shareholders' Equity : 기업 순자산 또는 자본(자기 자본)
  • Kodex 미국빅테크10(H)가 보유 중인 미국 빅테크 10개 주식성적이 나스닥100 지수 보다 약 29% 높은 수준
  • 미국빅테크10 종목 ROE 25%  (S&P500 / 나스닥100 지수 대비 월등한 성적)

 

Kodex 미국빅테크10(H) ETF다가올 AI 시대에 생성형 AI 구현 위해서는 반도체와 데이터클라우드 관련 엔비디아, 브로드컴, 스노우플레이크* 등에도 투자 

 

Kodex 미국빅테크10(H) ETF : 10개 종목 동일 비중 으로 투자하는 동일가중 방식 운용

  • 미국 빅테크 주식 특성 상 기업, 시기, 섹터, 방법을 가리지 않고 신기술이 발표
  • 어떤 종목 성장 예측 매우 어려움

 

 

고금리 킹달러 상황에서 향후 금리 인하가 예상되고 원-달러 가격이 하락시 환차손을 대비 하기 위해서 환헤지 실시

 

관련정보

2024.01.15 - [금융/채권] - (미)국채ETF (SEIBro 2024.01.15 기준)

2024.02.06 - [금융/전망] - 2024년 금리인하시 투자전략

728x90
728x90

본 자료로 투자 결정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 하지 마세요.

투자 진행은 각 개인의 상황에 맞게 진행 하세요

 

 

 

국내 출시된 하이일드 ETF 에 대해서 확인 해보았다.

현재 미래에셋/삼성자산/한국투자  3곳 입니다.

보수합계는 삼성 KODEXiShares미국하이일드액티브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 제일 유리하네요. 최근에 출시되어서 일까요?

운용회사 펀드명 펀드유형 설정일 TER
(A+B)
매매·중개
수수료율(D)
보수합계
미래에셋자산운용 TIGER단기선진국하이일드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채권-파생형)(합성 H) 채권파생형 2014/03/21 0.30 0.0098 0.3098
삼성자산운용 KODEXiShares미국하이일드액티브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채권-파생재간접형] 재간접파생형 2023/10/17 0.16 0.0188 0.1788
한국투자신탁운용 ACE미국하이일드액티브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채권-재간접형](H) 재간접형 2023/04/14 0.48 0.0398 0.5198

 

 

수익율은 KODEX/ACE 는 출시 1년이 되지 않아서 비교가 힘들지만, 1개월/3개월 수익율로는 KODEX 가 높습니다.

펀드명 설정일 1주 1개월 3개월 6개월 1년 상장이후
TIGER단기선진국하이일드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채권-파생형)(합성 H) 14/03/21 0.07 0.49 3.52 5.32 8.37 29.66
KODEXiShares미국하이일드액티브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채권-파생재간접형] 23/10/17  
0.51
7.24
     
ACE미국하이일드액티브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채권-재간접형](H) 23/04/14   -0.04 3.61 5.55    

 

각 상품 정보 비교

KODEX 는 환헤지 미실시가 부담이다.

 

펀드명 TIGER단기선진국하이일드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채권-파생형)(합성 H) KODEXiShares미국하이일드액티브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채권-파생재간접형] ACE미국하이일드액티브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채권-재간접형](H)
기초지수 Markit iBoxx USD Liquid High Yield 0-5 Index(PR) ICE BofAML US HY Constrained Index(Total Return) Markit iBoxx Liquid High Yield Total Return Index
설정일 2014-03-24 2023-10-19 2023.04.18
규모 163억원 139억원 90억원
환헤지 실시 미실시 실시
균잔존만기 2~3년 3.32년  
분배금 년지급(??) 월지급 월지급
주요구성종목 단기선진하이일드 TRS(한국투자증권) 67.38%
단기선진하이일드 TRS(신한투자증권) 20.59%
iShares 0-5 Year High Yield Corporate Bond ETF 3.11%
iShares Broad USD High Yield C 100%  

 

TIGER단기선진국하이일드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채권-파생형)(합성 H) 구성

NO 종목명 비중(%)
1 Sprint LLC 0.77
2 TransDigm Inc 0.77
3 DISH Network Corporation 0.63
4 American Airlines Inc/AAdvantage Loyalty IP Ltd 0.59
5 Caesars Entertainment Inc 0.59
6 DIRECTV Holdings LLC / DIRECTV Financing Co Inc 0.57
7 Teva Pharmaceutical Finance Netherlands III BV 0.54
8 CCO Holdings LLC / CCO Holdings Capital Corp 0.53
9 American Airlines Inc 0.48
10 Mauser Packaging Solutions Holding Co 0.48
11 Uniti Group LP / Uniti Fiber Holdings Inc / CSL Capital LLC 0.45
12 Sprint LLC 0.44
13 TransDigm Inc 0.43
14 DISH DBS Corp 0.4
15 Uniti Group LP / Uniti Fiber Holdings Inc / CSL Capital LLC 0.4
16 CCO Holdings LLC / CCO Holdings Capital Corp 0.39
17 Western Digital Corp 0.38
18 CHS/Community Health Systems Inc 0.37
19 Tenet Healthcare Corp 0.35
20 Connect Finco SARL / Connect US Finco LLC 0.34
21 Panther BF Aggregator 2 LP / Panther Finance Co Inc 0.34
22 NGL Energy Operating LLC / NGL Energy Finance Corp 0.34
23 Intesa Sanpaolo SpA 0.34
24 Bombardier Inc 0.33
25 United Airlines Inc 0.33
26 SS&C Technologies Holdings Inc 0.33
27 Newell Rubbermaid Inc 0.33
28 DISH DBS Corp 0.33
29 Allied Universal Holdco LLC 0.32
30 Caesars Entertainment Inc 0.32
ACE미국하이일드액티브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채권-재간접형](H) 구성
종목명 수량(주) 평가금액(원) 비중(%)
[USD] 예금 1,054.54 1,401,169 0
DRX DLY 20+ YR TREAS BULL 3X 1,607.57 109,404,640 9.17
FX스왑 USD 240104-54 -126,411,995.00 -126,411,995 10.59
FX스왑 USD 240117-18 -41,221,302.00 -41,221,302 3.45
FX스왑 USD 240201-11 -96,183,040.00 -96,183,040 8.06
FX스왑 USD 240206-28 -230,839,296.00 -230,839,296 19.35
FX스왑 USD 240207-58 -78,320,475.00 -78,320,475 6.56
ISHARES 20+ YEAR TREASURY BO 1,656.54 202,892,366 17.01
PROSHARES ULTRA 20+ YEAR TSY 101.62 2,618,127 0.21
T 2 3/8 11/15/49 2,702.70 2,396,676 0.2
T 2.875 05/15/52 3,135.14 3,073,540 0.26
T 3 02/15/48 648.65 658,998 0.05
T 3 02/15/49 972.97 984,389 0.08
T 3 08/15/48 324.32 328,489 0.02
T 3 08/15/52 8,756.76 8,814,881 0.74
T 3 1/8 05/15/48 1,945.95 2,020,732 0.16
T 3 3/8 11/15/48 11,675.68 12,670,999 1.06
T 3 5/8 02/15/53 46,918.92 53,479,495 4.48
T 3 5/8 05/15/53 51,891.89 59,202,987 4.96
T 4 1/8 08/15/53 112,972.97 141,185,568 11.83
T 4 3/4 11/15/53 15,135.14 21,018,948 1.76

 

 

ACE미국하이일드액티브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채권-재간접형](H) 투자설명서에 상장폐지 요건  1번 내용 입니다.
상장지수펀드증권(상장일부터 1년이 경과하지 아니한 증권은 제외한다)의 1좌당 또는 1주당 순자산가치의 일간변동률과 상장지수펀드가 목표로 하는 지수의 일간변동률의 상관계수(이하 “상관계수”라 한다)가 0.9 미만(다만, 액티브상장지수펀드의 경우에는 0.7 미만)이 되어 3개월 간 계속되는 경우. 이 경우 상관계수의 산출방법은 유가증권시장 상장규정 시행세칙으로 정한다.

728x90
728x90

관련정보

2024.01.12 - [금융/펀드-ETF] - S&P500 ETF 비교 (SEIBro 2024.01.12 기준)

 

본 자료로 투자 결정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 하지 마세요.
투자 진행은 각 개인의 상황에 맞게 진행 하세요

유럽에서 러시아 에너지 의존도 탈피하고, 원자력 발전 확대 강화할 전망이다.
노후 원전 대체 수요를 고려해 우라늄 채굴·가공 업체와 원전 설계, 핵심 설비 제작·공급 업체 주목해야 한다

 

  • 우라늄 가격 16년 만 최고 
  • 전 세계 우라늄의 43% 공급 카자흐스탄 생산 지연
  • 세계 각국 활발한 원자로 건설 진행으로 공급부족 상태

 

KBSTAR 글로벌원자력iSelect

KBSTAR ETF 사이트 상품 관련 정보를 확인해보았다.

 

  • 개인연금 / 퇴직연금 투자 가능
  • 상품정보
기초지수 iSelect 글로벌 원자력 지수
상장일 2022.10.13
툴팁 열기설정단위(CU) 50,000
순 자산 규모(원) 4,855,666,433
수탁은행 홍콩상하이은행 (HSBC은행)
현재가(원) 13,860
기준가격(NAV) 13,873
거래량(주) 4,488

 

  • KBSTAR ETF 사이트에서 확인한 1년 수익율 그래프

KBSTAR 글로벌원자력iSelect

  • 구성종목
번호
종목명 종목코드 주식수㈜ / 액면(원) 보유비중(%) 평가금액(원)
1 설정현금액 CASH00000001 693,666,633 100 693,666,633
2 Cameco Corp CA13321L108A 2,774 22.54 156,346,801
3 BWX Technologies Inc US05605H1005 986 16.46 114,143,816
4 두산에너빌리티 KR7034020008 6,090 13.51 93,725,100
5 NexGen Energy Ltd CA65340P1062 4,662 6.68 46,332,354
6 Uranium Energy Corp US9168961038 3,989 5.84 40,495,290
7 현대건설 KR7000720003 1,027 4.92 34,096,400
8 HD현대일렉트릭 KR7267260008 277 4.66 32,353,600
9 Yellow Cake PLC JE00BF50RG45 2,072 3.52 24,394,157
10 Denison Mines Corp CA248356107A 8,922 3.35 23,208,798
11 LS ELECTRIC KR7010120004 214 2.11 14,637,600
12 Energy Fuels Inc/Canada CA2926717083 1,655 2.1 14,571,282
13 한전기술 KR7052690005 171 1.69 11,730,600
14 한전KPS KR7051600005 308 1.6 11,072,600
15 원화예금 KRD010010001 10,745,454 1.55 10,745,454
16 효성중공업 KR7298040007 60 1.51 10,476,000
17 Aecon Group Inc CA00762V109A 650 1.3 9,009,049
18 Encore Energy Corp CA29259W7008 1,482 1.26 8,744,732
19 Centrus Energy Corp US15643U1043 137 1.18 8,191,213
20 Fission Uranium Corp CA33812R1091 6,688 1.06 7,378,800
21 Global Atomic Corp CA37957M1068 1,886 0.91 6,316,726
22 IsoEnergy Ltd CA46500E1079 1,220 0.82 5,708,538
23 Uranium Royalty Corp CA91702V101A 1,028 0.58 4,020,269
24 우리기술 KR7032820003 1,967 0.37 2,561,034
25 비에이치아이 KR7083650002 230 0.26 1,800,900
26 우진 KR7105840003 188 0.23 1,605,520

관련정보

2024.01.12 - [금융/펀드-ETF] - S&P500 ETF 비교 (SEIBro 2024.01.12 기준)

 

728x90

'금융 > 펀드-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KODEX 미국빅테크10(H) ETF  (4) 2024.02.27
[ETF] 하이일드  (17) 2024.02.24
[신한은행 퇴직연금] 펀드 - 집합투자규약  (2) 2024.02.01
30년 장기채 비교  (0) 2024.01.27
만기매칭형 채권 ETF  (1) 2024.01.23
728x90

관련정보

 

2024.02.15 - [금융/연금-보험-파킹] - 신한은행 퇴직연금 펀드 보유 상품 변경 방법

2024.02.15 - [금융/연금-보험-파킹] - 신한은행 퇴직연금 펀드 보유 상품 변경 검토(2024/02/15)

 

 

본 자료로 투자 결정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 하지 마세요.
투자 진행은 각 개인의 상황에 맞게 진행 하세요.

 

 

신한은행 퇴직연금으로 펀드를 시작하면서 집합투자규약을 읽어보았다.

많은 정보가 있는 데.. 이제껏 볼 생각을 하지 않았다.

 

보면서 내 기준에서 관심 있는 내용 위주로 요약을 하였습니다.

 

펀드 가입할 때 한번쯤 정독 해보 필요가 있을 것 같다.

 

목적 / 용어 정의 명칭, 수익증권 종류..

투자대상자산, 투자대상자산 취득한도, 한도 및 제한의 예외, 투자신탁재산의 보관 및 관리, 수익증권의 판매 및 환매

 

판매가격이  class 에 따라 다른 것 같다.

 

(판매가격) ①수익증권은 다음 각호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종류별로 판매한다.
1. 종류 A 수익증권 : 투자자 자격에 제한 없음
2. 종류 A-e 수익증권 : 온라인을 통해 가입하는 투자자
3. 종류 C1 수익증권 : 투자자 자격에 제한 없음
4. 종류 C2 수익증권 : 종류 C1 수익증권의 보유기간 1년 이상인 자 -> 보유기간에 따라 수익증권이 변경 되는 것 같다.
5. 종류 C3 수익증권 : 종류 C2 수익증권의 보유기간 1년 이상인 자
6. 종류 C4 수익증권 : 종류 C3 수익증권의 보유기간 1년 이상인 자
7. 종류 C-e 수익증권: 온라인을 통해 가입하는 투자자
8. 종류 C-w 수익증권: 판매회사의 종합관리계좌(WRAP Account) 또는 특정금전신탁
9. 종류 I 수익증권 : 법 제9조 제5항에 따른 전문투자자 (단, 법 제9조 제5항 제4호,법 시행령 10조 제3항 제15호 내지 제18호에 해당하는 전문투자자는 제외), 50억 이상 개인, 75억 이상 법인
10. 종류 S 수익증권 : 집합투자증권에 한정하여 투자중개업 인가를 받은 회사(겸영금융투자업자는제외)가 개설한 온라인 판매시스템에 회원으로 가입한 투자자
11. 종류 C-P 수익증권: 소득세법 제20조의3 및 소득세법시행령 제40조의2에 따른 연금저축계좌의 가입자
12. 종류 Ce-P 수익증권: 소득세법 제20조의3 및 소득세법시행령 제40조의2에 따른 연금저축계좌의 가입자로서 온라인을 통해 가입하는 투자자
13. 종류 C-P2 수익증권: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에 의한 퇴직연금 가입자
14. 종류 Ce-P2: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에 의한 퇴직연금 가입자로서 온라인을 통해 가입하는 투자자

=> 퇴직연금 / 연금저축계좌 가입자도 다르다..
15. 종류 S-P 수익증권: 집합투자증권에 한정하여 투자중개업 인가를 받은 회사(겸영금융투자업자는제외)가 개설한 온라인 판매시스템에 회원으로 가입한 투자자 전용이며, 소득세법 제20조의3 및 소득세법 시행령 제40조의2에 따른 연금저축계좌를 통하여 가입한 투자자
16. 종류 A-G 수익증권: 투자자문업자로부터 투자자문을 받고 그 결과에 따라 집합투자증권 매수를 요청하는 등 판매회사 등으로부터 별도의 투자권유 없이 집합투자증권을 매수하고자 하는 투자자 전용으로 선취판매수수료가 징구되는 집합투자증권
17. 종류 C-G 수익증권: 투자자문업자로부터 투자자문을 받고 그 결과에 따라 집합투자증권 매수를 요청하는 등 판매회사 등으로부터 별도의 투자권유 없이 집합투자증권을 매수하고자 하는 투자자 전용 집합투자증권

 

투자신탁보수는 아래 3가지는 동일하게 산정이 되는 것 같다.

1. 집합투자업자보수율: 연 0.10%
3. 신탁업자보수율: 연 0.04%
4. 일반사무관리회사보수율: 연 0.025%

 

2. 판매회사보수율은 종류에 따라서 차이가 난다.

(종류 C-w) 는 연 0.0% 이다.

(종류 C1) 는 연 1.5% 이다.

하지만 (종류 A) 판매수수료가 있어서 총 보수는 더 높은 것 같다.

 

가능하면 온라인으로 가입하는 것이 보수가 낮은 것 같다.

 

③제1항의 규정에 의한 투자신탁보수는 당해 종류 수익증권별로 다음 각 호의 보수율에 당해 종류 수익증권에 해당하는 투자신탁재산의 연평균가액(매일의 투자신탁 순자산총액을 연간 누적하여 합한 금액을 연간 일수로 나눈 금액)에 보수계산기간의 일수를 곱한 금액으로 한다.
(종류 A)
1. 집합투자업자보수율: 연 0.10%
2. 판매회사보수율: 연 0.80%
3. 신탁업자보수율: 연 0.04%
4. 일반사무관리회사보수율: 연 0.025%
(종류 A-e)
1. 집합투자업자보수율: 연 0.10%
2. 판매회사보수율: 연 0.40%
3. 신탁업자보수율: 연 0.04%
4. 일반사무관리회사보수율: 연 0.025%
(종류 C1)
1. 집합투자업자보수율: 연 0.10%
2. 판매회사보수율: 연 1.50%
3. 신탁업자보수율: 연 0.04%
4. 일반사무관리회사보수율: 연 0.025%
(종류 C2)

1. 집합투자업자보수율: 연 0.10%
2. 판매회사보수율: 연 1.25%
3. 신탁업자보수율: 연 0.04%
4. 일반사무관리회사보수율: 연 0.025%
(종류 C3)
1. 집합투자업자보수율: 연 0.10%
2. 판매회사보수율: 연 0.999%
3. 신탁업자보수율: 연 0.04%
4. 일반사무관리회사보수율: 연 0.025%
(종류 C4)
1. 집합투자업자보수율: 연 0.10%
2. 판매회사보수율: 연 0.80%
3. 신탁업자보수율: 연 0.04%
4. 일반사무관리회사보수율: 연 0.025%
(종류 C-e) 
1. 집합투자업자보수율: 연 0.10%
2. 판매회사보수율: 연 0.99%
3. 신탁업자보수율: 연 0.04%
4. 일반사무관리회사보수율: 연 0.025%
(종류 C-w)
1. 집합투자업자보수율: 연 0.10%
2. 판매회사보수율: 연 0.00%
3. 신탁업자보수율: 연 0.04%
4. 일반사무관리회사보수율: 연 0.025%
(종류 I)
1. 집합투자업자보수율 : 연 0.10%
2. 판매회사보수율 : 연 0.03%
3. 신탁업자보수율 : 연 0.04%
4. 일반사무관리회사보수율 : 연 0.025%
(종류 S)
1. 집합투자업자보수율 : 연 0.10%

2. 판매회사보수율 : 연 0.25%
3. 신탁업자보수율 : 연 0.04%
4. 일반사무관리회사보수율 : 연 0.025%
(종류 C-P)
1. 집합투자업자보수율 : 연 0.10%
2. 판매회사보수율 : 연 0.85%
3. 신탁업자보수율 : 연 0.04%
4. 일반사무관리회사보수율 : 연 0.025%
(종류 Ce-P) => 연금저축계좌의 가입자 온라인
1. 집합투자업자보수율 : 연 0.10%
2. 판매회사보수율 : 연 0.40%
3. 신탁업자보수율 : 연 0.04%
4. 일반사무관리회사보수율 : 연 0.025%
(종류 C-P2)
1. 집합투자업자보수율 : 연 0.10%
2. 판매회사보수율 : 연 0.70%
3. 신탁업자보수율 : 연 0.04%
4. 일반사무관리회사보수율 : 연 0.025%
(종류 Ce-P2)=> 퇴직연금 가입자로서 온라인
1. 집합투자업자보수율 : 연 0.10%
2. 판매회사보수율 : 연 0.35% -> 연금저축계좌 가입자 보다 퇴직연금 가입자가 보수가 낮다..
3. 신탁업자보수율 : 연 0.04%
4. 일반사무관리회사보수율 : 연 0.025%
(종류 S-P)
1. 집합투자업자보수율 : 연 0.10%
2. 판매회사보수율 : 연 0.20%
3. 신탁업자보수율 : 연 0.04%
4. 일반사무관리회사보수율 : 연 0.025%
(종류 A-G)
1. 집합투자업자보수율 : 연 0.10%

2. 판매회사보수율 : 연 0.60%
3. 신탁업자보수율 : 연 0.04%
4. 일반사무관리회사보수율 : 연 0.025%
(종류 C-G)
1. 집합투자업자보수율 : 연 0.10%
2. 판매회사보수율 : 연 1.00%
3. 신탁업자보수율 : 연 0.04%
4. 일반사무관리회사보수율 : 연 0.025%

 

판매수수료 : A 는 투자자 자격에 제한 없음 이여서 인지.. 부과된다.

1. 종류 A 수익증권: 납입금액의 1.0% 이내
2. 종류 A-e 수익증권: 납입금액의 0.50% 이내
3. 종류 A-G 수익증권: 납입금액의 0.70% 이내

728x90

'금융 > 펀드-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F] 하이일드  (17) 2024.02.24
KBSTAR 글로벌원자력iSelect (442320)  (2) 2024.02.16
30년 장기채 비교  (0) 2024.01.27
만기매칭형 채권 ETF  (1) 2024.01.23
(신규) KBSTAR 미국채30년엔화노출(합성H)  (0) 2024.01.23
728x90

본 자료로 투자 결정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 하지 마세요.
투자 진행은 각 개인의 상황에 맞게 진행 하세요.

 

 

30년장기채 ETF 에 대해서 금융투자협회와 증권정보포탈에서 자료를 비교 해보았다.

금융투자협회에서 확인한 내용과 증권정보포탈에서 확인한 내용은 하나의 표로 작성해서 붙여 넣기를 하니까 보기가 어렿다.

위 이미지로 붙여 넣은 표를 참고하세요. 

NO 종목명 유형 순자산 종가 거래량 수익률(%)-3M 수익률(%)-6M 수익률(%)-1Y 수익률(%)-3Y 총보수(%)
1 TIGER 국고채30년스트립액티브 채권/국공채권 1,405 50,040 69,075 30.31 11.63     0.15
2 KBSTAR KIS국고채30년Enhanced 채권/국공채권 3,393 72,410 71,960 25.23 9.73 1.37   0.05
3 ARIRANG 국고채30년액티브 채권/국공채권 3,643 101,290 548 19.71 8.33     0.05
4 KODEX 국고채30년액티브 채권/국공채권 2,890 105,215 7,704 18.99 7.57 3.10   0.05
5 KBSTAR 국채30년레버리지KAP(합성) 파생상품/레버리지 91 20,145 15,247 39.70 11.89     0.10
6 SOL 국고채30년액티브 채권/국공채권 98 49,140 11,740          
7 히어로즈 국고채30년액티브 채권/국공채권 91 56,785 10,517         0.04
8 ACE 미국30년국채선물레버리지(합성 H) 해외지수/레버리지 502 6,885 263,379 26.68 -17.00     0.25
9 TIGER 미국채30년스트립액티브(합성 H) 해외지수/액티브 2,130 44,845 149,374 20.73 -12.65     0.15
10 KODEX 미국채울트라30년선물(H) 해외지수/선물 2,990 8,050 562,313 13.86 -6.72 -12.45 -37.91 0.30
11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 해외지수/채권형 6,858 8,700 1,252,998 13.84 -6.43     0.05
12 ARIRANG 미국채30년액티브 해외지수/채권형 249 50,595 9,427 12.66       0.15
13 SOL 미국30년국채액티브(H) 해외지수/해외지수 76 9,485 19,222 11.65 -6.96     0.05
14 KODEX 미국채울트라30년선물인버스(H) 파생상품/인버스 78 11,075 8,115 -11.82 7.42 15.12 54.79 0.30
15 KBSTAR 미국채30년엔화노출(합성 H) 해외지수/엔화노출 621 9,340 660,629          
16 SOL 미국30년국채커버드콜(합성) 해외지수/커버드콜 304 10,180 353,053          
17 KBSTAR 미국채30년커버드콜(합성) 파생상품/커버드콜 220 9,815 272,953          

 

NO 종목명 설정일 운용 판매 수탁 사무
관리
합계
(A)
유사유형
평균보수율
기타
비용
(B)
TER
(A+B)
매매·중개
수수료율(D)
1 TIGER 국고채30년스트립액티브 2023/01/27 0.139 0.001 0.005 0.005 0.150 0.147 0.03 0.18 0.0069
2 KBSTAR KIS국고채30년Enhanced 2021/05/24 0.039 0.001 0.005 0.005 0.050 0.147 0.02 0.07 0.0157
3 ARIRANG 국고채30년액티브 2023/02/03 0.039 0.001 0.005 0.005 0.050 0.147 0.01 0.06 0.0004
4 KODEX 국고채30년액티브 2022/08/22 0.039 0.001 0.005 0.005 0.050 0.147 0.02 0.07 0.0119
5 KBSTAR 국채30년레버리지KAP(합성) 2023/02/13 0.070 0.010 0.010 0.010 0.100 0.291 0.03 0.13 0.0121
6 SOL 국고채30년액티브 2023.07.11                  
7 히어로즈 국고채30년액티브 2023/11/02 0.024 0.001 0.005 0.005 0.035 0.147 0.01 0.04 0.0005
8 ACE 미국30년국채선물레버리지(합성 H) 2023/02/02 0.220 0.010 0.010 0.010 0.250 0.291 0.08 0.33 0.0144
9 TIGER 미국채30년스트립액티브(합성 H) 2023/05/25 0.100 0.010 0.020 0.020 0.150 0.291 0.03 0.18 0.0141
10 KODEX 미국채울트라30년선물(H) 2018/09/10 0.250 0.010 0.020 0.020 0.300 0.291 0.06 0.36 0.0985
11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 2023/03/10 0.035 0.005 0.005 0.005 0.050 0.147 0.06 0.11 0.0391
12 ARIRANG 미국채30년액티브 2023/08/18 0.120 0.010 0.010 0.010 0.150 0.147 0.03 0.18 0.0418
13 SOL 미국30년국채액티브(H) 2023/07/07 0.039 0.001 0.005 0.005 0.050 0.147 0.04 0.09 0.0018
14 KODEX 미국채울트라30년선물인버스(H) 2018/09/10 0.250 0.010 0.020 0.020 0.300 0.291 0.05 0.35 0.0644
15 KBSTAR 미국채30년엔화노출(합성 H) 2023/12/22 0.134 0.001 0.010 0.005 0.150 0.291 0.00 0.15 0.0000
16 SOL 미국30년국채커버드콜(합성) 2023/12/26 0.200 0.010 0.020 0.020 0.250 0.291 0.01 0.26 0.0000
17 KBSTAR 미국채30년커버드콜(합성) 2023/12/13 0.200 0.010 0.020 0.020 0.250 0.291 0.02 0.27 0.0000

 

 

미국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으로 인한 것인지 3개월 수익율이 원더풀 하다..

하지만 2024년 되면서 금리 인하 시점이 늦추어 지는 것 영향인지 가격이 하락하고 있다.

 

개인연금 / 퇴직연금으로 투자 가능한 상품이다.

TIGER 국고채30년스트립액티브
KBSTAR KIS국고채30년Enhanced
ARIRANG 국고채30년액티브
KODEX 국고채30년액티브
SOL 국고채30년액티브

 

특히 아래 국고채30년은 수익율이 엄청나다..

TIGER 국고채30년스트립액티브
KBSTAR KIS국고채30년Enhanced

 

아래 미국 30년국채도 수수료율이 조금 높지만.. 이정도 수익율이면 문제가 없을 것 같다.

ACE 미국30년국채선물레버리지(합성 H)
TIGER 미국채30년스트립액티브(합성 H)

 

SOL 국고채30년액티브 에 대한 정보는 보이지 않아서 SOL ETF 에서 출시일정을 확인 했다.

3개월 수익율로 나쁘지 않지만, 기초지수 대비 -22.13  으로 나온다.

728x90
728x90

본 자료로 투자 결정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 하지 마세요.
투자 진행은 각 개인의 상황에 맞게 진행 하세요.

 

요즘 채권에 관심이 있어서 내용 찾아보다가 만기매칭형 채권 ETF 가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찾아보았다.


만기 채권형 채권 ETF는 특정 만기의 채권으로 구성된 Exchange-Traded Fund (ETF)로 특정 만기에 도달하면 원금상환이 된다.

만기에 가까워질수록 듀레이션이 점점 줄어들기 때문에 금리 변동에 따른 채권 가격 등락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금리 변동에 따른 위험이 기존 채권형 ETF보다 낮다.

이 ETF의 중요한 특징은 채권 포트폴리오 만기를 일정하게 구성한다는 것이다.
만기매칭형 채권 ETF는 채권들의 만기를 효과적으로 관리하여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할수 있다.

ETF 운용사는 채권 포트폴리오구성을 할 때 특정 만기로 조정하고, 채권 만기시 새로운 채권을 매입하거나 다른 만기의 채권으로 교체합니다.

만기매칭형 채권 ETF는 이자율 상승시 채권 가치 하락에 대한 이자율 리스크를 관리 위해 채권 만기를 조절합니다.

투자자들에게 상대적으로 안정된 현금 흐름을 제공하도록 관리 하여 자산 보호에 중점을 둔 투자자들에게 적합하다.

만기매칭형 채권 ETF는 계속적으로 채권을 매입하거나 다시 균형 맞추기 위하여 자산 재투자 및 포트폴리오 재조정을 합니다.
투자자들에게 고정 수익과 채권투자 안정성 제공하기 위해서 노력 합니다.

일반적인 채권 ETF의 금리 변동에 따른 채권 가격 변동 차익 실현 목적과 달리 만기 매칭형 채권 ETF는 만기시에  원금과 이자를 상환 받는 것이 투자 목표이다.

운용사는 상환된 현금을 예금 계좌나 초단기상품에 넣어두지만, 이들 상품의 이자는 당연히 채권 수익률보다 낮아 전체 상품의 수익률도 낮아진다.

ETF 만기 2~3개월 전부터는 YTM을 확인하면서 ETF를 팔고 다른 상품으로 변경하는 것에 대해서도 고려 해보는 것이 좋다.

국내 국고채와 회사채, 은행채 등을 기초자산인 ETF 들이 있다.

상품명에 붙은 숫자로 채권 만기 시점을 알 수 있다. ‘25-12’가 붙어 있다면 2025년 12월이 만기다.

 

우량한 신용등급 은행채권 투자하는 2024년 12월 만기 도래 액티브 ETF인 Kodex 24-12 은행채(AA+이상)액티브가 만기매칭형 채권 이다.

 

  • 순자산 총액 : 26,954억원
  • 상장일 : 2023.09.12
  • 최소거래단위 : 1주
  • 설정단위 : 10,000좌
  • 사무수탁사 : 신한펀드파트너스
  • 수탁은행 : HSBC
  • 총 보수(연) : 0.050% (지정참가회사 : 0.001%, 집합투자 : 0.043%, 신탁 : 0.003%, 일반사무 : 0.003%)
  • 과세내용 : 매매차익은 배당소득세 과세(보유기간 과세) : Min(매매차익, 과표 증분) X 15.4%
  • 분배금 :  배당소득세 과세 : Min(현금분배금, 과표증분) X 15.4%
  • 분배금지급 : 미지급 후 재투자
  • 비교지수정보 :  KAP 24-12 은행채 총수익 지수
  • 2024년 11월에서 12월에 만기가 도래하는 특수은행채와 AA+등급 이상 시중은행채로 구성된 지수

2024/01/29 기준 수익율 이다.

종목명 1개월 3개월 상장이후
NAV
0.35
1.40
1.81
기초지수
0.37
1.47
1.85
시장가격(종가)
0.39
1.44
1.85

 

 

  • 키움투자자산운용의 히어로즈 25-09 미국채권(AA-이상)액티브

    만기 2025년 9월 전후 도래하는 미국 국채와 공사채, 회사채, 달러표시채권(KP, Korean Paper) 등 투자
    국제신용등급 AA-이상, 시가총액 3억달러 이상의 우량 종목 위주
    매수한 뒤 만기 보유시 기대 YTM은 지난 9월 말 기준 5.35%
    (기준일 예상포트폴리오 기준).
    매수 이후 금리가 상승하여 채권가격 하락하더라도 만기채권형 ETF를 만기일인 2025년 9월 30일까지 보유하면 연 5.278% 확정 이자 수익이 발생한다.
    금리가 하락하여 채권가격 상승할 경우엔 만기 이전에 매도해 자본차익을 얻을 수 있다.
    환헤지 미 적용 환노출형으로 미국 달러화 가치 변동에 영향을 받는 다
    달러 강세로 원달러환율 상승 시 긍정적 영향을, 달러약세 원달러환율 하락 약세 시 부정적 영향을 받는다.
728x90
728x90


본 자료로 투자 결정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 하지 마세요.
투자 진행은 각 개인의 상황에 맞게 진행 하세요.

 

네이버증권 정보로는 상장일이 2023년 12/27일 이다.

따끈따끈한 신규펀드 이다.

 

  • KIS 미국채 30년 엔화노출 기초지수 USD/JPY 헤지
  • 잔존만기 20년 이상인 미국 장기국채 투자성과 추종하는 엔화 산출 지수
  • 미국달러화에는 노출되지 않고 국내투자자가 엔화로 미국채 투자 효과 추종 지수

KB STAR ETF 에서 확인 해보면 퇴직연금 / 개인연금 투자 가능한 상품이다.

 

 

 

얼마 되지 않아서 수익률은 좀 더 지켜봐야 할것 같다.

 

 

금융투자협회 확인 보수

 

24년 1월 2일 환율(JPY/USD)이 141.44인 점을 고려했을 때
2024년 미국 기준금리 인하와 일본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양국 금리차 가 줄어들 경우, 환이익만 10% 이상 발생 가능하다..
물론 여러가지 다른 요소에 따라서 달라질수 있지만.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