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본 자료는 개인이 내용 정리한 자료 입니다. 절대 종목 추천에 대한 내용이 아닙니다.

모두 투자 결정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하에 투자 진행을 각 개인 상황 맞게 진행 하세요

##

 

 

(161510) PLUS 고배당주

  • 오랜 기간 검증된 국내 대표 고배당+배당성장 ETF
  • 월배당 지급으로 안정적인 Income 수익 구조
  • 주주환원정책 확대에 따른 배당 증가와 주가 흐름 기대

 

구성 종목

종목코드 종목명 보유수량 (주) 비중
32640 LG유플러스 1630 3.56%
270 기아 154 3.56%
29780 삼성카드 389 3.53%
139130 DGB금융지주 1949 3.53%
55550 신한지주 269 3.38%
82640 동양생명 2698 3.28%
5830 DB손해보험 132 3.26%
30200 KT 327 2.99%
3540 대신증권 819 2.94%
88350 한화생명 4084 2.62%
 
 
 

수익률

구분
최근 1개월 최근 3개월 최근 6개월 최근 1년 연초 이후 상장 이후
기준가격 (NAV) 
 
 
-4.87
3.96 13.08 36.59 30.11 135.87
기초지수 
 
 
-5.17
3.53 9.76 27.87 24.03 39.05
기초지수 대비 0.3 0.43 3.32 8.72 6.08 96.82

 

분배금

지급 기준일
실 지급일 분배금 (원) 주당과세표준액 (원)
2024.09.30 2024.10.04 63 0
2024.08.30 2024.09.03 63 25
2024.07.31 2024.08.02 63 58
2024.06.28 2024.07.02 63 39
2024.05.31 2024.06.04 63 63
2024.04.30 2024.05.03 750 750
2023.04.28 2023.05.03 730 730
2022.04.29 2022.05.03 680 680
2021.04.30 2021.05.04 590 590
2020.04.29 2020.05.06 470 470
2019.04.30 2019.05.03 530 530
2018.04.30 2018.05.03 500 500
2017.04.28 2017.05.04 430 430
2016.04.29 2016.05.03 400 400
2016.01.29 2016.02.02 10 10
2015.04.30 2015.05.06 260 260
2015.01.30 2015.02.03 10 10
2014.04.30 2014.05.07 287 287
2013.04.30 2013.05.09 260 260

(489030) PLUS 고배당주위클리커버드콜

  • 고배당주의 배당 수익과 커버드콜 프리미엄 동시 추구
  • 박스권에서 효과적인 커버드콜, 위클리 옵션으로 차별화
  • 매월 1.2% 분배를 통한 안정적인 인컴 수익 추구
 

구성종목

종목코드 종목명 보유수량 (주) 비중
810 삼성화재 52 3.67%
32640 LG유플러스 1727 3.39%
270 기아 163 3.39%
139130 DGB금융지주 2066 3.36%
29780 삼성카드 412 3.36%
55550 신한지주 285 3.22%
82640 동양생명 2846 3.10%
5830 DB손해보험 139 3.08%
30200 KT 347 2.85%
3540 대신증권 867 2.80%

 

수익율

구분 최근 1개월 최근 3개월 최근 6개월 최근 1년 연초 이후 상장 이후
기준가격 (NAV)  -3.47 0 0 0 0 2.5
기초지수  -3 0 0 0 3.12 3.12
기초지수 대비 -0.47 0 0 0 -3.12 -0.62

 

 

분배금

지급 기준일 실 지급일 분배금 (원) 주당과세표준액 (원)
2024.09.30 2024.10.04 130 0
2024.08.30 2024.09.03 130 8

 

 

(251590) PLUS 고배당저변동50

  • 높은 배당수익률과 안정적 수익을 추구하는 ETF
  • 저변동 종목 편입으로 약세장 주가방어 효과
  • 주주환원정책 확대에 따른 배당 증가와 주가 흐름 기대

 

구성종목

종목코드 종목명 보유수량 (주) 비중
138930 BNK금융지주 1975 2.84%
32640 LG유플러스 1814 2.79%
3690 코리안리 1955 2.57%
25000 KPX케미칼 348 2.55%
139130 DGB금융지주 1895 2.41%
123890 한국자산신탁 5157 2.38%
30000 제일기획 801 2.28%
175330 JB금융지주 941 2.28%
12750 에스원 242 2.27%
1800 오리온홀딩스 903 2.24%

 

수익율

구분 최근 1개월 최근 3개월 최근 6개월 최근 1년 연초 이후 상장 이후
기준가격 (NAV) 
-0.97
3.61 5.46 24.18 14.05 71.28
기초지수 
-1.13
3.41 3.94 17.99 11.35 24.29
기초지수 대비 0.16 0.2 1.52 6.19 2.7 46.99

 

분배금

지급 기준일 실 지급일 분배금 (원) 주당과세표준액 (원)
2024.07.31 2024.08.02 25 25
2024.04.30 2024.05.03 650 650
2023.04.28 2023.05.03 600 600
2021.04.30 2021.05.04 360 360
2020.04.29 2020.05.06 300 300
2019.04.30 2019.05.03 280 280
2018.04.30 2018.05.03 350 350
2017.04.28 2017.05.04 240 240

 

 

 

 

##

 

##

 

##

728x90

'금융 > 펀드-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GER 배당 ETF  (6) 2024.09.28
KODEX 배당 ETF  (12) 2024.09.28
(한화) PLUS 미국다운존스고배당주(합성H)-24/09/25  (1) 2024.09.25
KODEX ETF (2024/09/20)  (4) 2024.09.20
TIGER ETF (2024/09/20)  (1) 2024.09.20
728x90

 

본 자료는 개인이 내용 정리한 자료 입니다. 절대 종목 추천에 대한 내용이 아닙니다.

모두 투자 결정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하에 투자 진행을 각 개인 상황 맞게 진행 하세요

##

##

 

주식 배당 관련 내용

종목명 배당률
예스코홀딩스 19.4%
에이블씨엔씨 18.2%
오상헬스케어 15.4%
앤씨앤 12.7%
크레버스 12.3%
코리아에셋투자증권 12.0%
정다운 11.8%
인화정공 10.9%
하나투어 10.0%
현대엘리베이 9.1%
SK디앤디 9.0%
일성아이에스 9.0%
넥스틸 8.5%
정상제이엘에스 8.2%
스톤브릿지벤처스 8.0%
도이치모터스 7.8%
한샘 7.8%
한국쉘석유 7.8%
동국제강 7.7%
한온시스템 7.7%
메가스터디 7.6%
광주신세계 7.4%
한국자산신탁 7.4%
대신증권 7.4%
동국홀딩스 7.4%
푸른저축은행 7.3%
서호전기 7.2%
세아특수강 7.2%
동양생명 7.2%
CR홀딩스 7.2%
스카이라이프 7.1%
아이마켓코리아 7.1%
서원인텍 7.1%
HS애드 7.0%
바이오인프라 7.0%
기업은행 7.0%
동부건설 6.9%
TBH글로벌 6.9%
세아제강 6.8%
코웰패션 6.8%
DGB금융지주 6.7%
E1 6.7%
유수홀딩스 6.7%
아이에스동서 6.7%
한국토지신탁 6.7%
LG유플러스 6.6%
대창스틸 6.5%
코리안리 6.5%
텔코웨어 6.5%
보광산업 6.5%

1. 기준월 (Ex-Dividend Date)

  • 기준월은 주식 배당과 관련된 중요한 날짜 중 하나로,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 자격이 결정되는 날
  • 이 날짜에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야 배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기준월 이후에 주식을 매수한 투자자는 배당을 받을 수 없으며,
  • 주가가 보통 이 날짜에 배당금만큼 하락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따라서 기준월 이전에 주식을 매수해야 배당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2. 배당금 (Dividend Amount)

  • 배당금은 기업이 주주들에게 지급하는 이익 분배 금액입니다.
  • 기업은 이익의 일정 부분을 주주들에게 배당금으로 지급하며,
  • 주당 지급되는 금액을 "주당 배당금"이라고 부릅니다.
  • 배당금은 주로 현금 배당의 형태로 지급되지만, 주식 배당으로도 지급될 수 있습니다.
  • 배당금의 크기는 기업의 이익 규모와 배당 정책에 따라 결정됩니다.

3. 수익률 (Dividend Yield)

  • 배당 수익률은 주가 대비 배당금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배당 수익률(%) = {주당 배당금}/{주가} * 100
  • 배당 수익률은 투자자에게 배당이 얼마나 효율적인지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 예를 들어, 주가가 100달러이고 주당 배당금이 5달러라면, 배당 수익률은 5%입니다.
  • 배당 수익률이 높을수록 투자자는 주식에서 더 높은 배당 수익을 기대할 수 있지만,
  • 이는 반드시 좋은 투자 기회임을 의미하지는 않으므로 다른 요인들도 고려해야 합니다.

4. 배당성향 (Dividend Payout Ratio)

  • 배당성향은 기업이 순이익 중 배당금으로 지급하는 비율을 나타냅니다.
  • 배당성향(%) = 배당금/순이익 * 100
  • 배당성향이 높다는 것은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의 상당 부분을 주주들에게 배당으로 지급하고 있다는 것
  • 배당성향이 너무 높으면 기업의 재투자 여력이 줄어들 수 있고,
  • 너무 낮으면 배당금이 적거나 배당을 지급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5. 주가와 배당의 관계

배당과 주가 사이에는 복잡한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 배당이 증가할 때: 일반적으로 기업이 꾸준히 배당을 증가시키면, 이는 그 기업의 재무 상태가 양호하다는 신호로 간주되어 주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이 안정적인 수익원을 선호하기 때문입니다.
  • 배당이 감소할 때: 반면, 배당이 감소하거나 중단되면, 이는 기업의 재무 상태가 나빠졌다는 신호로 받아들여져 주가가 하락할 수 있습니다.
  • 배당 수익률과 주가의 역관계: 배당 수익률은 주가가 하락할 때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주가 하락으로 인해 배당금 대비 주가 비율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주가 하락이 기업의 실적 악화와 관련된 경우, 배당 유지에 대한 우려가 생길 수 있습니다
728x90

'금융 > 주식-차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KOSDAQ-2024/10/30  (1) 2024.10.30
[KOSPI] 2024/10/30  (0) 2024.10.30
KOSPI 지수와 KOSDAQ 업종지수 비교(24/09/23)  (0) 2024.09.23
KOSPI 와 업종차트 비교(24/09/23)  (0) 2024.09.23
KOSDAQ 2024/09/12  (0) 2024.09.12
728x90

 

본 자료는 개인이 내용 정리한 자료 입니다. 절대 종목 추천에 대한 내용이 아닙니다.

모두 투자 결정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하에 투자 진행을 각 개인 상황 맞게 진행 하세요

 

(213630) PLUS 미국다운존스고배당주(합성H)

 

  • 해외
  • 섹터/테마
  • 개인연금
  • 퇴직연금
  • 미국 고배당 인컴 투자


  • 투자포인트
    • 미국 상장 기업 중 배당수익률 상위 100종목 투자
    • 미국 대표 배당지수에 투자
    • 배당금 재투자로 수익 극대화 추구
  • 수익률 : 기준가격(NAV) 최근 1개월 값 3.65%

  • 순자산총액 149 억원 - 기준가 17,582원 (0.28%) - 2024.09.24 기준

 

#

#

#

728x90

'금융 > 펀드-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KODEX 배당 ETF  (12) 2024.09.28
PLUS 고배당주 비교  (2) 2024.09.28
KODEX ETF (2024/09/20)  (4) 2024.09.20
TIGER ETF (2024/09/20)  (1) 2024.09.20
ETF Map  (0) 2024.08.20
728x90

 

본 자료는 개인이 내용 정리한 자료 입니다. 절대 종목 추천에 대한 내용이 아닙니다.

모두 투자 결정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하에 투자 진행을 각 개인 상황 맞게 진행 하세요

 

(276970) Kodex 미국S&P500배당귀족커버드콜(합성 H)

  • 미국 S&P500 구성종목 중 지난 25년간 꾸준히 배당이 증가한 기업에 투자
  • 해외주식테마
  • 퇴직연금(70%)
  • 개인연금
  • 환헤지
  • 순자산 총액414억원
  • 상장일2017.08.10
  • 최소거래단위1주
  • 설정단위100,000좌
  • 사무수탁사신한펀드파트너스
  • 수탁은행KB은행
  • 분배금지급

지급 (지급 기준일 : 3월, 6월, 9월, 12월의 세번째 금요일 종가 NAV의 1.5%(연 6.0%) 내외를 이후 4번째 영업일을 분배기준일로 하여 지급)

※ 지급 기준일은 참고사항으로, 실제 지급일은 아래 '분배금 지급현황'을 확인

 

  • 총 보수(연) : 0.300% (지정참가회사 : 0.001%, 집합투자 : 0.259%, 신탁 : 0.020%, 일반사무 : 0.020%)

  • 과세내용
    • 배당소득세(보유기간과세)
    • 매매차익은 배당소득세 과세(보유기간 과세) : Min(매매차익, 과표 증분) X 15.4%
    • 분배금은 배당소득세 과세 : Min(현금분배금, 과표증분) X 15.4%

 

기초지수정보

S&P 500 Dividend Aristocrats Covered Call(7.2% Premium) Index Price Return

S&P 500 Dividend Aristocrats Covered Call(7.2% Premium) Index Price Return은 미국S&P고배당지수(S&P 500 Dividend Aristocrats Net Total Return) 매수와 S&P500콜옵션 매도 합성을 통한 커버드콜구조의 전략형 지수로서, 분기당 Index NAV의 1.80%(연 7.2%) 수준의 분배락을 반영합니다.

 

 

종목명 비중(%)  : 스왑(신한투자증권) 100%

728x90
728x90

본 자료는 개인이 내용 정리한 자료 입니다. 절대 종목 추천에 대한 내용이 아닙니다.

모두 투자 결정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하에 투자 진행을 각 개인 상황 맞게 진행 하세요

 

 

네마녀의 날

 

미국 증시 ‘네 마녀의 날(quadruple witching day)’

  • 주가지수 선물·옵션, 개별 주식 선물·옵션 등 네 가지 파생 상품의 만기일이 겹치는 날
    1. 매년 3·6·9·12월의 세 번째 금요일
    2. 주식시장의 거래량이 급증하면서 시장 변동성이 커진다.
    3. 투자자들이 만기가 찾아온 선물·옵션 계약을 청산하고, 새로운 계약을 맺으면서 많은 거래가 이뤄지기 때문이다.
    4. 단기적으로 주가가 출렁이는 만큼 거래에 더 신중할 필요가 있는 날이다.
  • 개별 기업 차원에서도 변화가 있다.
    1. 네 마녀의 날이 S&P500 구성 종목 변경(리밸런싱)의 기준일
    2. 24/06/24일 거래 시작 시점부터 S&P500 지수에는 KKR, 고대디 및 크라우드스트라이크가 편입된다.
    3.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펀드들은 네 마녀의 날인 21일 종가를 기준으로 이 종목들 주식을 지수 내 비중에 맞춰서 사들여야 한다.
  • 지수 내 비중을 맞추기 위해 자산운용사가 주식을 사들이는 것에 대한 기대 때문에 실제 지수 편입일까지 다른 기관·개인 투자자들의 투자금까지 이 종목들에 몰리는 경향을 보인다.
  • 시장에서는 이를 ‘이벤트 드리븐(event driven) 투자 전략’이라 부르기도 한다.
  • 다만 지수 편입 이후 차익 실현 매도가 이어질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특히, 9월의 네마녀 날은 여름을 지나 가을 장세로 전환되는 시점으로 시장 흐름에 중요한 영향

  • 일반적으로 여름철에는 거래량이 줄어들고, 시장이 비교적 조용한편
  • 9월이 되면 가을 장세가 시작되면서 시장에 활기가 돌기 시작
  • 9월은 한해의 마지막 분기 시작으로 기업들의 실적 발표와 경제 지표가 투자자들 심리를 크게 좌우

 

네마녀의 날 투자자가 주목해야 할점

  • 변동성을 예상한 대비책 마련
  •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이 매우 높음
  • 투자자들은 자신의 포지션을 점검
  • 필요시 리스크 관리 전략 준비
  1. 옵션 만기일 전후로 보유 종목이나 지수에 큰 가격 변동 예상 되면, 헤징 전략 고려
    • 선물이나 옵션 활용 손실 대비
  2. 장기적인 투자자는 단기적인 변동성에 휘둘리지 않는 것이 중요
    • 네마녀의 날 가격 변동은 주로 단기적인 수급 불균형으로 기인
    • 장기적인 펀더멜털에 근거한 투자 전략 유지
  3. 갑작스런 가격 변동으로 진입 기회 포착
    • 과도한 하락세가 나타날 경우, 시장 심리가 과하게 반영된것으로 판단 저점 매수 고려

 

주식선물

만기는 일년에 4번 (3월/6월/9월/12월 둘째주 목요일에만 기청산)

다음날 금요일 시작되는 것은 근월물로 선물 지소 1포인트는 25만원으로 계산 되어 일일정산

 

옵션은 매월 둘째주 목요일 종가 맞추기로

 

증거금 제도

  • 거래소가 매매 당사자에게 계약과 동시에 납부하도록 하는 일정비율 보증금
  • 선물거래에서는 현재 시점에서 거래대상물과 대금이 필요 없지만 대시 미래 특정 시점에 계약을 이행하겠다는 약속 보증이 필요
  • 증거금은 거래소등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보통 10% 이내로 레버리지 효과가 상대적으로 크다보니 위험성도 크다

 

일일정산제도

  • 정산소는 당일 장이 끝난 후 종가를 기준으로 하여 매일 정산 가격 발료하고
  • 그 기준으로 미청산계약에 대한 점정이익과 손실 정산
  • 이러한 정산 결과 증거금 계정의 수준이 유지 증거금 이상의 수준으로 하락하면 추가 증거금을 납후 해야 한다.
  • 기본증거금 초과 이익은 현금 인출 가능
  • 정산소는 일일정산 기능을 통하여 일정 수준의 증거금을 유지하여 계약 불이행 위험 방지

 

 

728x90
728x90

본 자료는 개인이 내용 정리한 자료 입니다. 절대 종목 추천에 대한 내용이 아닙니다.

모두 투자 결정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하에 투자 진행을 각 개인 상황 맞게 진행 하세요

##

##

 

KOSPI 지수와 KOSDAQ 강한 업종 종목 비교 (25/09/23)

 

  • 알테오젠
  • 리가켐바이오
  • 지아이이노베이션
  • 에이프릴바이오
  • 올릭스
  • 브래드엑스코퍼레이션
  • 리파인
  • 인벤티지랩
  • 율호
  • 서희건설

 

 

 

 

 

 

 

 

 

 

 

 

#

#

#

728x90
728x90

본 자료는 개인이 내용 정리한 자료 입니다. 절대 종목 추천에 대한 내용이 아닙니다.

모두 투자 결정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하에 투자 진행을 각 개인 상황 맞게 진행 하세요

 

KOSPI 지수와 KOSDAQ 업종지수 비교(24/09/23)

 

03: 기타서비스-최근 강한상승중
07: 건설 - 최근 강한상승후 눌림목
08:유통 - 강한 상승중
20:제약 - 강한 추세
25:의료/정밀 - 살짝 상대적 강세

 

 

 

 

728x90

'금융 > 주식-차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KOSPI] 2024/10/30  (0) 2024.10.30
주식 배당율 확인  (4) 2024.09.28
KOSPI 와 업종차트 비교(24/09/23)  (0) 2024.09.23
KOSDAQ 2024/09/12  (0) 2024.09.12
KOSPI 2024/09/12  (0) 2024.09.12
728x90

본 자료는 개인이 내용 정리한 자료 입니다. 절대 종목 추천에 대한 내용이 아닙니다.

모두 투자 결정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하에 투자 진행을 각 개인 상황 맞게 진행 하세요

 

 

KOSPI 와 업종차트 비교(24/09/23)

 

  • 의약품 : 매우 강함
  • 비금속광물 : 강함
  • 철강금속 : 강하게 상승중
  • 운수장비 : 강함
  • 전기가스 : 강함
  • 건설 : 살짝 높다가 떨어지고 있음
  • 운수창고 : 상승추세
  • 통신업 : 상승추세
  • 증권/보험 : 전반적인 상승 추세

#

 

 

 

 

 

 

 

 

 

 

 

 

 

 

 

 

 

 

 

 

 

 

 

#

#

 

728x90

'금융 > 주식-차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배당율 확인  (4) 2024.09.28
KOSPI 지수와 KOSDAQ 업종지수 비교(24/09/23)  (0) 2024.09.23
KOSDAQ 2024/09/12  (0) 2024.09.12
KOSPI 2024/09/12  (0) 2024.09.12
KOSDAQ 2024/09/11  (0) 2024.09.11
728x90

본 자료는 개인이 내용 정리한 자료 입니다. 절대 종목 추천에 대한 내용이 아닙니다.

모두 투자 결정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하에 투자 진행을 각 개인 상황 맞게 진행 하세요

 

 

(487240) Kodex AI전력핵심설비

 

  • AI 시대를 이끌어갈 파워, 전력(電力)
  • 퇴직연금(70%) / 개인연금

  • AI전력설비 '슈퍼사이클' 진입
  • 슈퍼사이클 진입 : 미국 빅테크 기업의 AI 데이터센터 확장 및 인프라 정책 효과 + 노후 설비 교체 수요

  • 전세계적인 전력설비 물량 부족 → 수급 불균형 지속에 '공급자 우위 시장'

  • 글로벌 전력설비 공급난, K-전력설비 장기호황 기대
  • 한국 기업의 높은 생산능력 & 가격 경쟁력 : 
    • 1) 높은 기술력 및 생산력, 
    • 2) 선제적인 현지 공장 증설, 
    • 3) FTA 무관세 혜택 등

  • 한국의 변압기·전선 업체 반사이익 :
  • 미국은 국가안보 차원에서 자국 전력망에 중국산 장비 사용 금지

  • 핵심 BIG3에 집중 : LS그룹, HD현대일렉트릭, 효성중공업
    AI전력 핵심설비 BIG3에 집중 투자 : 'LS(전력계열사), HD현대일렉트릭, 효성중공업' 77% 수준으로 편입
    (기준일 : 2024.06.28 )


    LS그룹 시너지 효과 기대 : AI전력 필수 분야인 '변압기-전선-구리' 전력사업 수직계열화

 

순자산 총액1,110억원
상장일2024.07.09
최소거래단위1주
설정단위100,000좌
사무수탁사신한펀드파트너스
수탁은행우리은행

 

0.390% (지정참가회사 : 0.001%, 집합투자 : 0.359%, 신탁 : 0.020%, 일반사무 : 0.010%)

 

 

원화예금 KRD010010001 3,253,464 - 3,253,464
HD현대일렉트릭 267260 663 24.90 210,171,000
LS ELECTRIC 010120 977 17.75 149,871,800
효성중공업 298040 461 17.53 147,981,000
LS 006260 1,139 14.65 123,695,400
대한전선 001440 8,117 10.97 92,614,970
제룡전기 033100 877 6.23 52,620,000
일진전기 103590 1,033 2.58 21,796,300
LS에코에너지 229640 811 2.42 20,396,650
LS마린솔루션 060370 908 1.95 16,462,040
가온전선 000500 261 1.01 8,508,600

 

{487230)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


퇴직연금(70%) / 개인연금 / 환노출
AI시대를 결정하는 AI전력인프라에 투자
AI시대의 발전, 전력과 인프라에 달렸다
글로벌 AI전력,인프라 산업의 중심에 있는 미국 → 미국의 AI전력인프라 대표 기업에 투자

2030년까지 미국의 AI 전력수요는 81배 급증 전망

미국 AI전력인프라 산업의 대표주자 TOP10
AI로 촉발되는 전력 슈퍼사이클의 핵심 종목으로 포트폴리오 구성

전력 수요 확대로 전력효율화 관련 10개 종목의 가격 상승의 효과도 기대

미국 정부의 정책 수혜와 빅테크 파트너십까지
미국 정부는 기존 노후 인프라 교체 및 AI 주도의 신규 인프라 투자까지 확대 지원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등 AI빅테크 기업들의 공식파트너사에 투자, AI빅테크와 동반 성장 전망


순자산 총액 :  499억원
상장일 : 2024.07.09
최소거래단위 : 1주
설정단위 : 50,000좌
사무수탁사 : 신한펀드파트너스
수탁은행 : 한국씨티은행

 

0.450% (지정참가회사 : 0.001%, 집합투자 : 0.419%, 신탁 : 0.020%, 일반사무 : 0.010%)

 

기초지수정보

iSelect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 지수(Price Return)

iSelect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 지수(Price Return)는 AI전력 인프라와 관련된 미국 주식으로 구성된 지수입니다.

 

 

##

NO 종목명 종목코드 수량 비중(%) 평가금액(원)
1 설정현금액 CASH00000001 499,454,451 - 499,454,451
2 원화현금 KRD010010001 3,492,345 - 3,492,345
3 ARISTA NETWORKS ANET US Equity 146.32 14.18 70,337,866
4 CONSTELLATION ENERGY CEG US Equity 263.25 14.13 70,087,303
5 GE Vernova LLC GEV US Equity 200.68 12.67 62,854,065
6 EATON CORP PLC ETN US Equity 138.46 11.67 57,899,797
7 Trane Technologies plc TT US Equity 113.15 11.27 55,878,347
8 Vertiv Holdings Co VRT US Equity 398.19 9.35 46,389,190
9 EMCOR GROUP INC EME US Equity 78.39 8.59 42,583,701
10 JOHNSON CONTROLS INT JCI US Equity 366.61 7.15 35,455,340
11 Quanta Services Inc PWR US Equity 85.98 6.27 31,087,594
12 Pure Storage Inc PSTG US Equity 357.12 4.72 23,388,903

##

##

 

 

728x90

'금융 > 펀드-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PLUS 고배당주 비교  (2) 2024.09.28
(한화) PLUS 미국다운존스고배당주(합성H)-24/09/25  (1) 2024.09.25
TIGER ETF (2024/09/20)  (1) 2024.09.20
ETF Map  (0) 2024.08.20
Kodex 인도타타그룹 ETF  (1) 2024.07.15
728x90

 

본 자료는 개인이 내용 정리한 자료 입니다. 절대 종목 추천에 대한 내용이 아닙니다.

모두 투자 결정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하에 투자 진행을 각 개인 상황 맞게 진행 하세요

 

2024/09/20 기준으로 TIGER ETF 정리

 

ETF명칭 : 미래에셋 TIGER 2차전지 TOP10 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주식)
규모 : 363,953,975,115원
종목코드(단축코드) : 364980
거래단위 : 1주
최초상장일 : 2020-10-07
기초지수  도움말 : KRX 2차전지 TOP10

 

 

한국거래소가 발표하는 “KRX 2차전지 TOP10”를 기초지수로 하여 1좌당 순자산가치의 변동률을 기초지수의 변동률과 유사하도록 투자신탁재산을 운용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한국거래소가 발표하는 “KRX 2차전지 TOP10”를 기초지수로 하는 상장지수투자신탁으로서, 투자목적 달성을 위해서 국내 주식에 투자신탁 자산총액의 60% 이상을 투자합니다
환헤지를 실시하지 않습니다
1CU(50,000좌)
연 0.4% (운용: 0.359%, 지정참가: 0.001%, 신탁: 0.02%, 일반사무: 0.02%)
매매차익은 비과세
분배금은 배당소득세 과세 : 현금 분배금 X15.4%

 

[364980] TIGER 2차전지 TOP10  11.52%/1M

한국 2차전지 산업을 대표하는 10개 기업에 투자합니다.

  • 구성종목
NO 구성종목 TOP10  (비중순%)
1
삼성SDI 24.85%
2
POSCO홀딩스 24.81%
3
LG에너지솔루션 24.19%
4
LG화학 7.25%
5
에코프로비엠 5.22%
6
에코프로 4.04%
7
SK이노베이션 3.60%
8
포스코퓨처엠 3.46%
9
SKC 1.20%
10
에코프로머티 1.19%

 

  • 분배금
지급기준일 실제지급일 분배금액(원) 주당과세표준액(원)
2024-04-30 2024-05-03 18 18
2023-04-28 2023-05-03 65 65
2022-04-29 2022-05-03 40 40
2021-04-30 2021-05-04 5 5

 

  • 수익률
구분 1주 1개월 3개월 6개월 1년 상장이후
기준가격 0.34 11.52 -4.1 -22.27 -36.24 6.21
기초지수 0.47 11.81 -3.86 -22.05 -36.22 5.39
기초지수대비 -0.13 -0.29 -0.24 -0.22 -0.02 0.82
대표지수 -0.17 -6.08 -10.37 -3.93 1.32 8.17

 

 

ETF명칭 :미래에셋 TIGER 2차전지테마 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주식)
규모 : 1,122,367,664,497원
종목코드(단축코드) : 305540
거래단위 : 1주
최초상장일 :2018-09-12
기초지수 도움말 : WISE 2차전지 테마 지수

 

 

운용목표, 운용방법, 환헤지 사항, 연금투자 가능여부, 설정단위 , 총보수 , 과세내용 , 분배금 지급 기준일 , 지정참가회사 , 유동성공급자 정보로 이루어진 테이블 표운용목표운용방법환헤지 사항설정단위(1CU)총보수과세내용

FnGuide가 발표하는 “WISE 2차전지 테마 지수”를 기초지수로 하여 1좌당 순자산가치의 변동률을 기초지수 의 변동률과 유사하도록 투자신탁재산을 운용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FnGuide가 발표하는 “WISE 2차전지 테마 지수”를 기초지수로 하는 상장지수투자신탁으로서, 투자목적 달성을 위해서 국내 주식에 투자신탁 자산총액의 60% 이상을 투자합니다
환헤지를 실시 여부 X
1CU(50,000좌)
연 0.5% (운용: 0.439%, 지정참가: 0.001%, 신탁: 0.03%, 일반사무: 0.03%)
매매차익은 비과세
분배금은 배당소득세 과세 : 현금 분배금 X15.4%

 

(305540) TIGER 2차전지테마 - 11.04%/1M

전기차 ESS시장 급성장, 2차전지 시장이 뜬다.대한민국 2차전지 밸류체인에 분산투자합니다.

[364980] TIGER 2차전지 TOP10  11.52%/1M 과 비중이 다른 데.. 왜 비슷한 ETF 를 같은 증권사에서 만들었을 까?
  • 기초지수 상이
  • 보수 차이
  • 구성종목
NO 구성종목 TOP10  (비중순%)
1
LG에너지솔루션 17.99%
2
삼성SDI 15.66%
3
POSCO홀딩스 15.62%
4
LG화학 13.73%
5
포스코퓨처엠 8.05%
6
에코프로비엠 7.03%
7
에코프로 4.82%
8
에코프로머티 3.62%
9
SK이노베이션 3.47%
10
SKC 1.55%

 

 

지급기준일 실제지급일 분배금액(원) 주당과세표준액(원)
2024-04-30 2024-05-03 47 0
2023-04-28 2023-05-03 70 33
2022-04-29 2022-05-03 10 9
2021-04-30 2021-05-04 5 5
2020-04-29 2020-05-06 35 35
2019-04-30 2019-05-03 50 50
  • 수익률
구분 1주 1개월 3개월 6개월 1년 상장이후
기준가격 0.11 11.04 -9.92 -22.77 -33.96 109.87
기초지수 0.15 11.11 -10.25 -23 -34.23 102.89
기초지수대비 -0.04 -0.07 0.33 0.23 0.27 6.98
대표지수 -0.17 -6.08 -10.37 -3.93 1.32 17.42

 

 

ETF명칭 : 미래에셋 TIGER 200 중공업 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주식)
규모 : 81,972,534,310원
종목코드(단축코드) : 139230
거래단위 : 1주
최초상장일 : 2011-04-06
기초지수 도움말 : KOSPI 200 중공업
한국거래소가 발표하는 KOSPI 200 중공업 지수를 추적대상지수로 하여 1좌당 순자산가치의 변동률을 기초지수의 변동률과 유사하도록 투자신탁재산을 운용
완전복제 혹은 최적화 기법을 이용하여 지수를 구성하는 주식으로 포트폴리오 구성.
환헤지를 실시 여부 X
20,000좌
연 0.4% (운용: 0.339%, 지정참가: 0.001%, 신탁: 0.03%, 일반사무: 0.03%)
매매차익은 비과세
분배금은 배당소득세 과세 : 현금 분배금 X15.4%

(139230) TIGER 200 중공업
코스피200구성종목 중 중공업에 속하는 종목에 분산투자합니다.

 

 

NO 구성종목 TOP10  (비중순%)
1
HD한국조선해양 17.11%
2
두산에너빌리티 15.31%
3
삼성중공업 13.26%
4
HD현대일렉트릭 12.31%
5
HD현대중공업 8.19%
6
현대로템 7.57%
7
한화오션 5.19%
8
HD현대미포 4.53%
9
두산밥캣 4.33%
10
씨에스윈드 3.16%

 

2024-04-30 2024-05-03 21 21
2023-04-28 2023-05-03 5 5
2022-04-29 2022-05-03 20 20
2021-04-30 2021-05-04 5 5
2020-04-29 2020-05-06 25 12
2019-04-30 2019-05-03 20 0
2018-04-30 2018-05-03 20 0
2017-07-31 2017-08-02 50 0
2017-04-28 2017-05-04 10 0
2016-04-29 2016-05-03 20 0

 

기준가격
상승6.74
하락-0.19
상승8.71
상승30.76
상승31.86
하락-31.70
기초지수
상승6.78
하락-0.13
상승8.66
상승31.00
상승31.88
하락-40.96
기초지수대비
하락-0.04
하락-0.06
상승0.05
하락-0.24
하락-0.02
상승9.26
대표지수
하락-0.17
하락-6.08
하락-10.37
하락-3.93
상승1.32
상승21.72

 

 

ETF명칭 : 미래에셋 TIGER KRX 바이오 TOP10 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주식)
규모 : 147,138,677,404원
종목코드(단축코드) : 364970
거래단위 : 1주
최초상장일 : 2020-10-07
기초지수 도움말 : KRX 바이오 TOP10지수
한국거래소가 발표하는 “KRX 바이오 TOP10 지수”를 기초지수로 하여 1좌당 순자산가치의 변동률을 기초지수의 변동률과 유사하도록 투자신탁재산을 운용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한국거래소가 발표하는 “KRX 바이오 TOP10 지수”를 기초지수로 하는 상장지수투자신탁으로서, 투자목적 달성을 위해서 국내 주식에 투자신탁 자산총액의 60% 이상을 투자합니다
환헤지를 실시하지 않습니다
1CU(50,000좌)
연 0.4% (운용: 0.359%, 지정참가: 0.001%, 신탁: 0.02%, 일반사무: 0.02%)
매매차익은 비과세
분배금은 배당소득세 과세 : 현금 분배금 X15.4%

 

(364970) TIGER 바이오TOP10
한국 바이오 산업을 대표하는 10개 기업에 투자합니다.

 

NO 구성종목 TOP10  (비중순%)
1
알테오젠 26.19%
2
삼성바이오로직스 25.46%
3
셀트리온 24.35%
4
HLB 8.58%
5
유한양행 6.50%
6
SK바이오팜 2.49%
7
한미약품 2.18%
8
삼천당제약 1.59%
9
SK바이오사이언스 1.22%
10
셀트리온제약 1.12%

 

2024-04-30 2024-05-03 14 0
2023-04-28 2023-05-03 15 0
2022-04-29 2022-05-03 5 0
2021-04-30 2021-05-04 5 0
기준가격
상승5.48
상승6.19
상승29.26
상승16.31
상승42.21
하락-22.12
기초지수
상승5.51
상승7.02
상승30.41
상승17.40
상승43.89
하락-20.51
기초지수대비
하락-0.03
하락-0.83
하락-1.15
하락-1.09
하락-1.68
하락-1.61
대표지수
하락-0.17
하락-6.08
하락-10.37
하락-3.93
상승1.32
상승8.17

 

ETF명칭 : 미래에셋TIGER코스닥150바이오테크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주식)
규모 : 27,980,622,922원
종목코드(단축코드) : 261070
거래단위 : 1주
최초상장일 : 2016-12-15
기초지수 도움말 : 코스닥 150 헬스케어 지수

한국거래소가 발표하는 "코스닥150 헬스케어 지수"를 추적대상지수로 하여 1좌당 순자산가치의 변동률을 지수의 변동률과 유사하도록 투자신탁재산을 운용
기초지수 추종을 위하여 지수를 구성하는 종목 전체를 편입하는 완전복제전략을 원칙으로 하되, 필요시 최적화 기법을 적용하여 일부종목만 편입하는 부분복제전략을 사용
환헤지를 실시 여부 X
20,000
연 0.4% (운용: 0.349%, 지정참가: 0.001%, 신탁: 0.02%, 일반사무: 0.03%)
매매차익은 비과세
분배금은 배당소득세 과세 : 현금 분배금 X15.4%

 

(261070)TIGER 코스닥150 바이오테크
고령화시대, 커져가는 건강에 대한 관심. 코스닥 150 구성종목 중 생명기술에 속하는 종목에 분산투자합니다.

NO 구성종목 TOP10  (비중순%)
1
알테오젠 29.70%
2
HLB 14.89%
3
리가켐바이오 5.40%
4
삼천당제약 4.01%
5
휴젤 3.01%
6
셀트리온제약 2.81%
7
파마리서치 2.57%
8
오스코텍 2.53%
9
HLB생명과학 2.39%
10
에스티팜 2.36%

##

728x90

'금융 > 펀드-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화) PLUS 미국다운존스고배당주(합성H)-24/09/25  (1) 2024.09.25
KODEX ETF (2024/09/20)  (4) 2024.09.20
ETF Map  (0) 2024.08.20
Kodex 인도타타그룹 ETF  (1) 2024.07.15
월배당 ETF (24/07/09)  (0) 2024.07.09
728x90

 

KOSDAQ 도 오늘 반등은 했다.

하지만, 볼린저 밴드 20-1 하단을 지나 10일 이평에 겨우 턱걸이 했다.

 

제일 아래 있는 장기이평선이 480일 이평선까지 아직 80 포인트가 남았다..

올해 안으로 갈수 있으려남??

 

해리슨 당선되어서 2차 전지가 캐즘에서 벗어나기를 기대해야 할듯..

728x90

'금융 > 주식-차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KOSPI 지수와 KOSDAQ 업종지수 비교(24/09/23)  (0) 2024.09.23
KOSPI 와 업종차트 비교(24/09/23)  (0) 2024.09.23
KOSPI 2024/09/12  (0) 2024.09.12
KOSDAQ 2024/09/11  (0) 2024.09.11
KOSPI (2024/09/11)  (0) 2024.09.11
728x90

 

KOSPI 차트

이번 하락으로 2월달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

그나마 채널 하단에서 반등을 해주어서 다행이다.

해리슨에게 고맙다고 해야 하남 !!

 

이번에 480일 이평 돌파 했으니

내일 240일 이평 돌파 하면 좋겠다.

 

따뜻한 추석 선물로 기대하고 싶다.

 

 

 

728x90

'금융 > 주식-차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KOSPI 와 업종차트 비교(24/09/23)  (0) 2024.09.23
KOSDAQ 2024/09/12  (0) 2024.09.12
KOSDAQ 2024/09/11  (0) 2024.09.11
KOSPI (2024/09/11)  (0) 2024.09.11
[시황 24/09/01] 거래소 (시간/일/주/월봉 비교)  (0) 2024.09.01
728x90

 

본 자료는 개인이 내용 정리한 자료 입니다. 절대 종목 추천에 대한 내용이 아닙니다.

모두 투자 결정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하에 투자 진행을 각 개인 상황 맞게 진행 하세요

 

 

KOSDAQ 차트를 보면 2008년 부터는 추세는 상승 채널을 만들수 있는 것 같다.

2023년 4월 부터 7월 중순까지 하락 삼각 수렴이후 급락했다.

이후 최근에 채널 하단에 위치해 있다.

 

반등을 해주면 좋겠는 데..

 

 

KOSDAQ 신용잔고는 7월 중순부터 많이 내려왔다.

728x90

'금융 > 주식-차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KOSDAQ 2024/09/12  (0) 2024.09.12
KOSPI 2024/09/12  (0) 2024.09.12
KOSPI (2024/09/11)  (0) 2024.09.11
[시황 24/09/01] 거래소 (시간/일/주/월봉 비교)  (0) 2024.09.01
[시황 24/08/29]  (1) 2024.08.29
728x90

 

본 자료는 개인이 내용 정리한 자료 입니다. 절대 종목 추천에 대한 내용이 아닙니다.

모두 투자 결정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하에 투자 진행을 각 개인 상황 맞게 진행 하세요

 

2022/09 부터 채널을 형성되는 것 같다.

채널은 상승 추세 인데..

채널 하단에 위치 해 있다.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 2023년 이스라엘 전쟁등 으로 채널 하단에서 반등을 했는 데..

이번에도 반등 할수 있을 까??

 

 

 

KOSPI 가 2024년 꾸역 꾸역 열심히 올라왔는 데.. 최근 1단에 모든 것이 원점 상태이다.. 허탈하다..

최근 하단 지표들도 모두다 엉망이다.. ㅠㅠ

728x90

'금융 > 주식-차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KOSPI 2024/09/12  (0) 2024.09.12
KOSDAQ 2024/09/11  (0) 2024.09.11
[시황 24/09/01] 거래소 (시간/일/주/월봉 비교)  (0) 2024.09.01
[시황 24/08/29]  (1) 2024.08.29
다이버전스  (1) 2024.08.15
728x90

 

 

CO2 넷제로 빌딩의 연결 요구 사항

 

이산화탄소(CO2) 넷제로 배출이라는 글로벌 목표는 모든 산업 부문에 영향을 미칩니다.

건물의 경우 대개 환경적으로 비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넷제로 달성이 어렵습니다.

제어 및 통신 시스템 대부분이 모니터링 및 데이터 처리 용량에 제한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효율성을 최적화하기 위한 고급 데이터 분석 및 제어 기능이 부족합니다.

 

CO2 넷제로를 달성하려면 인공 지능(AI) 기반 분석 및 제어를 사용하는 자동화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이렇게 개선하려면 10BASE-T1L 표준 기반의 데이터 전송률이 높은 장거리 단일 쌍 이더넷(SPE)을 사용하여 건물 전체에 센서를 쉽게 배포할 수 있어야 합니다.

데이터 전송률이 높아지면 대기 시간이 최소화되고 건물의 시스템을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습니다.

 

CO2 넷제로 빌딩의 연결 요구 사항을 간략하게 설명합니다.

그런 다음 Analog Devices Inc.의 10BASE-T1L 장치를 사용하여 SPE를 통해 지속 가능성을 강화하면서 통신 및 제어 개선을 지원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기존 건물 설계의 한계

기존 건물 설계에서는 건물 관리 시스템(BMS)을 사용하여 전체 구조를 제어하며, 일반적으로 건물 서브 시스템은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운영됩니다.

통신 상호 작용과 가용 전력의 한계로 인해 건물이 최고 효율로 운영되지 못해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손실이 발생합니다. 표준 건물의 계층적 구조를 생각해 보겠습니다(그림 1).

그림 1: 기존 건물 시스템은 계층적 구조이지만 기능별로 볼 수도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Analog Devices Inc.)

그림 1에서 BMS 피라미드의 맨 아래에 있는 현장/장치 레벨에는 다양한 시스템에 쓰이는 로컬 센서와 액추에이터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건물 및 방 컨트롤러 레벨에서는 현장 데이터와 장치 데이터를 통합하고 장치를 제어합니다.

엔터프라이즈 레벨에서는 전체 건물을 모니터링하고 BMS를 통해 컨트롤러 활동을 조정합니다.

난방, 환기 및 에어컨(HVAC)과 같은 기존 건물 시스템은 수직적인 제어 계층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점유 감지와 같은 시스템과는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작동합니다.

즉, 점유 여부에 상관없이 각 층에서는 여전히 HVAC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해 에너지를 사용합니다.

이렇게 수직으로 분리되는 이유는 기존 데이터 인터페이스의 성능이 제한적이기 때문입니다. 로우 레벨 아날로그, 4mA ~ 20mA 전류 루프 및 RS485 직렬 인터페이스와, 하이웨이 어드레서블 원격 트랜스듀서(HART), 필드 버스 등 하이 레벨 인터페이스는 속도가 1200bits/s ~ 31.25Kbits/s로 상대적으로 느립니다.

이로 인해 주어진 기간 동안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이 제한됩니다.

 

2019년에 도입된 10BASE-T1L(IEEE 802.3cg) 이더넷 인터페이스는 데이터 전송률을 획기적으로 높여 SPE를 통해 10Mbits/s로 개선했습니다.

또한 동일한 데이터 전송 회선에서 훨씬 더 높은 전력 레벨을 공급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어,

HART를 사용하는 4mA ~ 20mA 전류 루프의 36mW에서 500mW(비분리형) 또는 최대 60W까지 가능합니다(표 1).

 

표 1: 일부 일반적인 건물 데이터 인터페이스 네트워크의 주요 특징 (표 출처: Art Pini, Analog Devices, Inc.의 데이터 사용)

 

또한 느린 데이터 인터페이스는 현장 수준 센서 및 액추에이터로의 접근성을 제한하므로 현장에서만 재구성할 수 있습니다.

10BASE-T1L은 모든 기존 이더넷 구현과 호환되며 게이트웨이 없이도 10/100/1000/2.5G/5G/10G BASE-T 변형을 포함한 모든 BASE-T 이더넷 네트워크 설치와 원활하게 통신할 수 있습니다.

 

10BASE-T1L의 역할

10BASE-T1L은 이더넷 802.3 표준에 속합니다. 이름에 해당 특징이 요약되어 있습니다.

'10'은 10Mbits/s 전송 속도를 의미하고,

'BASE'는 기저대역 신호를 나타내므로,

이더넷 신호만 매체를 통해 전송할 수 있습니다.

'T'는 연선 매체를 나타내고,

'1'은 1km 범위이며,

'L'은 장거리를 의미합니다.

 

10BASE-T1L의 매체 사양에는 특정 연선 케이블이 표시되어 있지 않습니다.

대신 배선의 반사 및 삽입 손실이 지정되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필드 버스 Type-A 케이블 등 기존에 설치된 배선을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10BASE-T1L은 두 가지 진폭 모드를 사용(케이블 길이가 1000m 이상인 경우 2.4V 피크 간(VP-P) 모드, 거리가 최대 200m로 짧고 위험한 환경에서는 1.0VP-P 모드 사용)하여 전이중 통신을 지원합니다.

 

이더넷 표준에는 데이터 통신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연선 케이블을 통해 전력을 공급하는 규정이 있습니다.

10BASE-T1L에서는 환경의 특성에 따라 전력이 제어됩니다. 500mW는 점화 방전 전력을 제한해야 하는 본질적 안전(즉, 위험한) 영역에 적합합니다.

안전 영역에서는 60W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

 

10BASE-T1L의 장점

10BASE-T1L의 가장 큰 장점은 자체 범위는 1km에 불과하지만 모든 범위의 이더넷 BASE-T 네트워크와 호환된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다양한 데이터 네트워크 표준 간에 변환 게이트웨이가 필요하지 않아 현장 수준에서 엔터프라이즈 및 클라우드 수준까지 경로를 개방하여 비용, 복잡성 및 전력 요구 사항을 완화합니다.

10BASE-T1L은 측정된 기본 공정 값을 추가 구성 파라미터, 상태 데이터, 소프트웨어/펌웨어 업데이트와 함께 최대 10Mb/s 속도로 센서 및 액추에이터에 전송할 수 있습니다.

센서 및 액추에이터에는 해당 IP 주소를 사용하여 원격으로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10BASE-T1L 호환 장치는 게이트웨이와 프로토콜 컨버터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장치 구성이 더 간단합니다.

추가 데이터 처리 용량은 완전한 시스템 진단 및 문제 해결 루틴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로 인해 사용 가능하게 된 추가 데이터 용량을 건물 시스템 연결에 활용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습니다.

AI 기반 분석 및 제어를 통한 보완 규제로 효율적인 공동 운영이 가능합니다.

10BASE-T1L이 장착된 건물의 경우를 고려해 보겠습니다(그림 2).

그림 2: 에지 트랜스듀서부터 클라우드까지 10BASE-T1L 상호 운용성이 추가되어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Analog Devices Inc.)

10BASE-T1L용 SPE를 사용하면 에지 레벨의 여러 트랜스듀서 및 액추에이터를 방 컨트롤러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

레거시 인터페이스로 연결된 기존 장치를 계속 사용하거나 이더넷 호환성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적절한 버전의 이더넷을 사용하여 시스템을 여러 수준에서 서로 연결하여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습니다.

10BASE-T1L 건물 네트워크 토폴로지

여러 장치가 링 또는 인라인 네트워크 토폴로지에서 SPE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습니다(그림 3).

그림 3: 10BASE-T1L은 다른 이더넷 모델과 마찬가지로 링 및 인라인 토폴로지를 지원하여 여러 장치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Analog Devices Inc.)

 

각 토폴로지는 대체 스타 네트워크 토폴로지에 비해 케이블 길이가 짧습니다.

링 토폴로지는 장치 고장에 대비하여 중복 경로를 추가로 제공합니다.

두 토폴로지에서 데이터를 네트워크에 전달하려면 각 장치에 두 개의 이더넷 포트가 있어야 합니다.

 

설계자는 내부 버퍼 대기열을 포함하여 스위치,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 인터페이스가 있는 이더넷 물리층(PHY) 코어 2개, 모든 관련 회로를 통합하는 저전력 이중 포트 10BASE-T1L 트랜시버인 Analog Devices의 ADIN2111CCPZ-R7을 사용해 이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이 장치는 직렬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SPI)를 통해 직접 제어됩니다.

SPI는 다양한 컨트롤러와 호환되므로 성능, 전력 사용 및 가격을 극대화하는 컨트롤러를 쉽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스위치는 이중 이더넷 및 SPI 포트를 사용하여 다양한 라우팅 구성을 지원하므로 인라인 또는 링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10BASE-T1L 스위치에 MAC 인터페이스가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은 컨트롤러에 MAC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선택 가능한 잠재적 컨트롤러의 수가 늘어납니다.

그림 3은 ADIN2111CCPZ-R7을 2포트 스위치로 사용하는 링 및 인라인 토폴로지를 보여줍니다.

 

링 구성에서는 모든 장치에 이중 스위치를 사용합니다.

인라인 구성에서는 마지막 장치에 ADIN1110CCPZ와 같은 단일 MAC-PHY 트랜시버만 필요하므로 이중 스위치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ADIN1110CCPZ에는 스위치와 마찬가지로 MAC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광범위한 결합 컨트롤러를 지원합니다.

따라서 장거리 이더넷을 다양한 저전력 저비용 컨트롤러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

 

10BASE-T1L을 기존 BMS에 다시 장착하는 경우 내장된 MAC을 통해 기존 컨트롤러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각 트랜스듀서 또는 액추에이터는 자체 컨트롤러를 갖추고 있으며, 트랜시버를 통해 이더넷에 액세스하여 IP 주소를 부여합니다.

 

그림 3에서 링 및 인라인 네트워크 암의 컨트롤러 측에는ADIN1100CCPZ-R7 이더넷 트랜시버가 적합합니다. ADIN1100CCPZ-R7에는 MAC이 포함되어 있지 않고 이더넷 PHY만 포함되어 있습니다.

ADIN1100CCPZ-R7은 그림에 나타난 제어 패널에서 사용된 것과 같이 MAC 기능이 통합된 컨트롤러와 함께 작동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MDIO(관리 데이터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원격 제어 프로세서와 연결됩니다.

MDIO 인터페이스는 호스트 프로세서의 MAC과 ADIN1100CCPZ-R7 간의 통신을 위한 2선식 직렬 인터페이스입니다.

 

모든 ADIN1100 계열 장치는 10BASE-T1L 사양보다 더 긴 최대 1700m 길이의 케이블에서 작동하도록 정격화되었습니다. 또한 -40°C ~ +85°C의 공칭 온도 범위에서 작동하도록 사양이 지정되었습니다.

나열된 모델(CCPZ)은 -40°C ~ +105°C의 확장된 온도 범위를 가집니다.

 

SPE를 통한 전력 공급

기존 시스템을 다시 장착할 경우 원격 현장 수준의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10BASE-T1L 사양은 단일 연선 케이블을 통해 표준화된 전력과 이더넷 데이터를 공급하는 단일 쌍 이더넷을 통한 전력 공급(SPoE)을 지원합니다.

이 기능을 위해 설계자는 5포트 PSE(전력 공급 장비) 컨트롤러인 LTC4296AUK-1-PBF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그림 4).

ADIN 계열 10BASE-T1L 제품에 쉽게 통합될 수 있는 24V 또는 54V 시스템을 사용하여 802.3cg 구동 장치(PD)와 상호 작용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그림 4: 5포트 PSE 컨트롤러로 사용되는 LTC4296AUK-1. (이미지 출처: Analog Devices, Inc.)

 

위 LTC4296AUK-1 응용 제품 예에서는 변압기/커패시터 전력 커플링 네트워크를 통해 ADIN1100 이더넷 트랜시버의 5개 인스턴스에 전력을 공급합니다.

ADIN1100은 각각 MAC 매체 독립 인터페이스(MII)를 통해 구동됩니다.

각 PSE는 유입 제어 및 단락 보호를 위해 하이사이드 자동 전류 제한기(ACL)를 통해 보호됩니다. LTC4296AUK-1의 작동 온도 범위는 -40°C ~ +125°C입니다.

결론

건물의 디지털화가 확대되면 관리 시스템이 모든 센서 데이터와 제어 기능에 액세스할 수 있게 되고, 건물 시스템을 상호 연결하여 운영 자동화를 위한 기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10BASE-T1L over SPE는 10Mbit/s의 데이터 전송률, 최대 1km의 긴 범위, 표준 이더넷 IP 연결을 건물 구석구석에 제공합니다.

이제 건물 컨트롤러는 클라우드에서 사실상 무제한의 에지 장치까지로 범위를 확장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건물의 전반적인 운영을 최적화하여 입주자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CO2를 줄일 수 있습니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