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자료는 개인이 내용 정리한 자료 입니다. 절대 종목 추천에 대한 내용이 아닙니다.
모두 투자 결정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하에 투자 진행을 각 개인 상황 맞게 진행 하세요
DMI 지표 (ADX, DI(+), DI(-)
ADX(Average Directional Movement Index)
주가 움직임의 범위를 전일과 비교 해서 차이로 매수 / 매도 측 참여 예상하는 지표
DMI(Directional Movement Index)
시장 추세와 추세 강도 알려주는 지표로 중장기 추세 판별에 적합
DM(+) = ABS (당일고가 – 전일고가)
DM(-) = ABS (당일저가 – 전일저가)
CL = ABS (당일종가 – 전일종가)
TR = MAX (DM(+), DM(-), CL)
DI(+) = DM(+) 지수 이동평균 / TR 지수 이동평균
DI(-) = DM(-) 지수 이동평균 / TR 지수 이동평균
ADX = ABS(DI(+) – DI(-)) / (DI(+) + DI(-))
추세적시장(Trend market)과 비추세적 시장(Non-trend market) 으로 구분
- 추세적시장
시장이 강세 또는 약세라는 추세를 가지고 있는 시장으로 포지션을 다음날로 이월시키는 Position Trading에 의해 수익을 얻을 수 있다
- 비추세적 시장
장중에 일정한 박스권내에서 매매하는 Day Trading에 적합한 상황을 말한다.
현재의 시장이 추세적 시장인지 비추세적 시장인지 판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DMI차트는 현재의 시장추세와 함께 그 추세의 강도까지 알려 주는 지표로 단기보다는 중장기 추세 판별에 적합한다.
DI(+) : 실질적으로 상승하는 폭 비율
DI(-) : 실질적으로 하락하는 폭 비율
- + DI와 -DI의 교차
>+DI가 -DI보다 큰 국면은 상승추세, 작은 국면은 하락추세로 규정할 수 있다
>+DI가 -DI를 상향돌파 하는 시점에서 매수, 하향돌파 하는 시점에서 매도 포지션을 취한다.
> +DI와 -DI의 교차를 매매신호로 이용할 때는 ADX를 같이 사용해야 한다. 즉 +DI와 -DI가 교차하는 시점에서 ADX가 20선 아래에서 진행되다가 다시 그 값이 커지거나 20선을 상향돌파 하는 시점에서 +DI와 -DI중 값이 큰 지표방향으로 매매하는 것이 정석입니다.
즉 ADX값이 상승하는 것은 현재 +DI와 -DI중 위에 있는 지표의 방향대로 추세가 진행되며, 그 강도가 강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MACD (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
1970년대 후반 Gerald Appel 이 만든 주가 기술적 분석 지표로 주가 추세의 강도, 방향, 모멘텀 및 지속 시간의 변화를 나타낸다.
장기 지수이동평균과 단기 지수 이동평균간의 차이
-시그널 교차
signal을 상향 돌파시 매수, 하향 돌파시 매도
장점: 빠른 매수도 신호 , 단점: 속임형이 많음
- 기준선 0의 교차
0을 상향 돌파시 매수, 하향 돌파시 매도
장점: 교차점 활용보다 속임이 적다,
단점: 후행성 존재. 다른 지표와의 활용이 필요하다.
'금융 > 주식-차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캔들패턴] 샛별형 / 유성형 / 하락장악형 / 집게형 / 상승샅바형 / 적삼병 / 상승타스키갭형 / 하락장악확인형 (0) | 2024.07.06 |
---|---|
[시황]KOSPIKOSDAQ (24/07/05) (0) | 2024.07.05 |
[시황] KOSPI / KOSDAQ (24/06/23) (0) | 2024.06.23 |
[차트] 이동평균선 순환사이클 (0) | 2024.06.23 |
[차트분석] 그랜빌 8법칙-KOSPI (0) | 2024.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