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본 자료로 투자 결정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 하지 마세요.
투자 진행은 각 개인의 상황에 맞게 진행 하세요.

 

 

선행지수순환변동 (Leading Economic Indicators)

 

 

미래의 경기 전망을 나타내는 지표로 경제의 주요 부문(생산, 소비, 투자 등)의 동향을 종합하여 산출하고, 경제의 미래 동향을 예측에 이용된다.
주로 경기의 고점과 바닥을 예측하는 데 활용됩니다.

선행지수가 상승하면 미래의 경기가 좋아질 전망있고
하락하면 미래 경기가 악화될수 있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서 "선행지수순환변동"으로 검색하여 " 경기종합지수(2020=100)(10차)" 를 선택해서 확인 하면 된다.

 

 

 

2023년 4월 부터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장단기금리차 (Yield Curve Spread)

 

 

장기금리와 단기금리 차이로 금리차이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금금융시장의 유동성과 경기 전망을 반영하여 경제의 향방을 예측 할수 있다.
경기가 좋아질 때 장단기금리차가 확대되고, 경기가 나빠질 때 축소된다.

금리 차이가 확대되면 대출이 유리해지고 투자 활동이 증가할 수 있다.
축소할 경우 대출 비용이 증가하고 경제 성장 둔화될 가능성 있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서 "장단기금리차"로 검색하여 " 경기종합지수(2020=100)(10차)" 를 선택해서 확인 하면 된다.

 

 

 

통계처에서 확인한 2023년 장단기 금리차 그래프 입니다.

 

 

 

2023년 계속 차이가 커지다가 2023년 10월부터 떨어지는 것을 확인 할수 있습니다.

 

728x90
728x90

본 자료로 투자 결정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 하지 마세요.
투자 진행은 각 개인의 상황에 맞게 진행 하세요.

 

 

 

OECD 한국 선행지수 비교

OECD 선행지수(OECD Composite Leading Indicator)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들 경기 동향 예측 지표

  • 6~9개월 후 경기 흐름 전망 지수: 투자자들이 경기전환점 파악 하는 중요한 경제지표로  많이 사용
  • OECD 회원국 주요 경제 지표(산업생산지수, 소매판매지수, 수출입지수 등)를 종합 산출
  • 수출 3개월 선행
  • 선행지수 100 이면 평균 이상

 

두개 선행지수를 비교해보면,

  • OECD 한국 선행지수가 통계청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보다 2개월 선행
  • 상관계수 : 0.81

 

2023/2022/2021 년도 월별로 OECD / 통계청 데이터 비교 그래프 이다

23/11 그래프를 보면 22년 보다 높고, 상승하는 추세이다.

 

통계청 홈페이지에서 "OECD선행지수" 로 검색 하고 "OECD : 주요지표"를 확인 한다.

 

 

통계청 선행지수는 e-나라지표에서 경기종합지수를 확인 하면 된다.

 

 

728x90

+ Recent posts